시설 이용 불가피한 장애인 고려해야
법안 통과가 우선, 이후 보완해 나가야

"장애인거주시설·정신요양시설, 단계적 축소해 10년 이내 폐쇄"
장애인 요양원 등 관련 시설을 폐쇄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장애인 탈시설' 관련 법안에 시설 단체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26일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등에 따르면, '장애인 탈시설' 지원 법안을 두고 시설 측은 "다양한 장애인 돌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해당 법안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2020년 12월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장애인 탈시설 지원 등에 관한 법률안'은 장애인 요양원 등 시설에서의 인권 침해 행위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시설을 폐쇄해야 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법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장애인 거주시설과 정신요양시설을 단계적으로 축소해 10년 이내에 폐쇄하고, 입소정원을 축소하는 시설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시설 측은 장애인 탈시설이 진행될 경우, 시설 이용이 필요한 장애인의 불편이 가중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시설 이용과 지역사회 돌봄 시스템이 함께 융합될 수 있는 다양한 돌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
정석왕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회장은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시설과 탈시설이라는 이분법적 선택과 이념적 논쟁에 휩싸여 탈시설 지원법이 발의됐다"면서 "장애인의 누려야 할 다양한 참여 및 결정의 권리를 제한하고 박탈하는 법안"이라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는 장애인 탈시설 법안 입법 취지에 대해 공감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다만 기존 시설 이용 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 정착 지원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의원이 발의한 '장애인 탈시설' 법안 검토보고서를 통해 복지부는 "무연고 중증 장애인 등 불가피한 사유로 시설 거주를 해야 하는 장애인이 있음을 고려 시, 10년 내 일괄적으로 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토록 규정하는 것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탈시설이 추진될 경우, 시설 이용이 불가피한 장애인은 길거리에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를 복지부도 수용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일각에선 법안이 통과돼야 세부적인 문제점을 보완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법안을 발의한 최 의원은 "(장애인 탈시설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입장 차이만 있을 뿐 장애인 당사자가 '행복하게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에선 이견이 없어 보인다"면서 "시범사업을 한 뒤 이를 더 강하게 뒷받침하려면 오히려 지원법이 있어야 한다. 즉 로드맵에 문제가 있고, 또 서비스가 더 있어야 한다면 법을 통과시키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장애인 광고는 '꼭' 감동적이어야 할까?··· 연민의 대상 아냐
- 장애인 시설 폐쇄 논란···복지시설단체 "주거 선택 권리 박탈"
- 대선후보, 사회복지계 목소리 직접 듣는다
- "사회복지부를 보건복지부에서 분리하라"···사회복지단체, 뿔났다
- 대통령실 '보호아동 탈시설 추진'에 시설 단체 "결사반대"
- 서울시, 전장연 산하 단체에 7년간 20억 지원
- 사회복지시설 도시가스요금 단가, 산업시설과 같다고?
- 복지부 장관 후보도 보건계···윤석열 정부, 복지 전문가 '공백' 논란
- "복지 현장 목소리 최우선 듣겠다"던 尹···인수위에 현장전문가 없다
- 원희룡 "복지국가위원회 설립하겠다"···국민의힘, 사회복지정책 아젠다 발표
- 사회복지 비전선포···대선후보, 복지정책 아젠다에 답변
- [현장] 윤석열 "장애인 정책, 개인별 맞춤형 복지 정책으로 나가야"(영상)
- [현장] '사회복지비전 선포대회'…윤석열·심상정·안철수 "공약에 반영"
- 장애인 탈시설 했더니, 자립 성공 '절반' 안돼
- 탈시설 용어도 '차별'··· 시설 단체 "현장 목소리 안 담겨"
- 장애인, 탈시설보다 소득 보장 선호···복지 예산 조정 필요
- '죽음의 계곡' 벗어난 '케어링'··· 수백억대 투자 유치
- [지금 카타르] 맥주는 못 마시는데, 장애인 대우는 지상 천국
- 장애인의 예술은 어떨까?··· 시설 거주 장애인이 만든 작품 한데 모여
- 내년 요양시설 예산 대폭 '삭감'··· 민간 책임 늘고 정부는 '뒷전'
- 장애인에겐 너무 먼 제주도 여행···특수차 단 2대
- 與, 시설 종사자 정년 연장법 발의···인력난 해결되나
- 요양원 영양사 뽑고 싶어도 못 뽑아···30인 시설의 '벽'
- [기고] 막 나가던 탈시설화, 원점에서 다시 시작
- [포토리뷰] 요양원도 '메리 크리스마스'
- 갈 곳 없는 '최중증 장애인'···시설 입소 대기 5년새 '4배'
- 중증 장애인 탈시설 부작용 확산··· 가정불화로 경찰 입건
- '탈시설' 논쟁은 현재진행형, 박경석 vs 정석왕 찬반 구도 이어질 듯
- [인터뷰] 정석왕 한장협회장 "탈시설 논란, 정치권 갈라치기 탓"
- 전장연 "서울시, 탈시설 논쟁 빼고 단독 면담" 제안
- 관리비 380만원 중 난방비 340만원···노인 요양원 비상
- '탈시설' 논쟁에 장애인 단체 "주거 선택권 다양화해야"
- [단독] 여성 장애인 16만 서울에 장애친화 산부인과 한 곳
- [기자수첩] 탈시설, 왜 장애인 주거선택권을 박탈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