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증 장애인들 시설 거주 불가피
무조건적인 '탈시설' 아닌 주거 다양화
장애 특성별 여러 거주 형태 고민해야

2021년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탈시설 지원법 발의로 시작된 탈시설 논쟁이 심화한 이후, 대통령실이 장애인거주시설 단체를 만나 '탈시설'과 관련한 입장을 전달받았다.
23일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이날 전국 장애인거주시설 총회 자리에서 결의문을 발표하고 이를 전선영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사회공감비서관 직무대리에게 전달했다. 이 결의문은 최 의원이 발의한 탈시설 지원법이 중증 장애인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법안 제정에 반대 입장을 담았다.
최 의원이 발의한 탈시설 지원법은 전면적인 탈시설 도입을 전제하고 있다. 법조문엔 모든 장애인거주시설은 '10년 이내에 폐지해야 한다'는 조항이 담겨 있다. 이에 정석왕 한장협 회장은 지난달 5일 본지와의 인터뷰([인터뷰] 정석왕 한장협회장 "탈시설 논란, 정치권 갈라치기 탓")를 통해 "탈시설 지원법은 장애인의 선택에 기반한 다양한 거주공간에서 살 권리를 담보하지 못한다는 개념으로, 어떠한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며 시설의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합의 과정도 거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일부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은 중증 및 최중증 장애인에게 시설 거주 선택권은 없어서는 안 된다고 제언한다. 실제 행동 장애가 심한 최중증 발달·지체 장애인은 가족이 직접 집에서 돌보기가 매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최중증 장애 자녀를 둔 제주한부모협회 소속 A씨는 본지에 "최중증 자녀를 둔 부모는 일상을 포기하고 24시간 내내 아이 곁에 머물 수밖에 없다"면서 "시설이 유일한 대안이다. 이마저도 입소 인원이 꽉 차 대기만 수년째 하며 지옥에서 나날을 보내는 가족이 많다"고 호소했다.
한장협 관계자는 "일반인이 원룸이나 아파트, 주택, 기숙사 등 거주 공간을 선택할 수 있듯이 장애인에게도 거주 시설 종류나 장애 특성에 따라 선택권을 다양하게 보장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우여곡절 끝에 마주 앉는 오세훈, 전장연···또다른 갈등 씨앗될까
- 전장연 "서울시, 탈시설 논쟁 빼고 단독 면담" 제안
- [인터뷰] 정석왕 한장협회장 "탈시설 논란, 정치권 갈라치기 탓"
- '탈시설' 논쟁은 현재진행형, 박경석 vs 정석왕 찬반 구도 이어질 듯
- 중증 장애인 탈시설 부작용 확산··· 가정불화로 경찰 입건
- 갈 곳 없는 '최중증 장애인'···시설 입소 대기 5년새 '4배'
- [기고] 막 나가던 탈시설화, 원점에서 다시 시작
- 장애인, 탈시설보다 소득 보장 선호···복지 예산 조정 필요
- 탈시설 용어도 '차별'··· 시설 단체 "현장 목소리 안 담겨"
- 치매 환자 절반 이상 결국 요양 시설 입소···국내 연구 결과 나왔다
- 장애인 탈시설 했더니, 자립 성공 '절반' 안돼
- 장애인 시설 10년 내 폐지 법안 재검토 요구 목소리 커져
- 장애인 시설 폐쇄 논란···복지시설단체 "주거 선택 권리 박탈"
- 장애인·치매환자 입소 꺼려하는 요양원... 커뮤니티케어, 부작용은?
- 임금 가이드라인도 없는 요양보호사, 자격증 따도 1%만 근무
- 10년 일해도 월 300만원···장애인시설, 간호사 공백에 '불법의료'까지
- [단독] 여성 장애인 16만 서울에 장애친화 산부인과 한 곳
- 한장협 "시민 볼모 잡은 일방적인 탈시설"···전장연 규탄 기자회견
- 서울시, 전장연 박경석에 과태료 부과···지하철 스티커 무단 부착
- 챗GPT, 장애인 탈시설 '적극 지지'···다만 당사자 의견 최우선
- 경기도, 전국 최초 최중증 장애인 돌봄 실태조사
- 한부모 가정 빈곤율 47%, 일반 가정 4배 달했다
- 경기도 조례안서 불붙은 탈시설 논쟁, '당사자 의견' 배제 논란
- [기자수첩] 탈시설, 왜 장애인 주거선택권을 박탈하나
- [단독] 시설 입소 대기 장애인 전국 1223명···'동반자살' 사각지대 놓였다
- 정석왕 한장협 회장 "시민 볼모 삼는 전장연, 국민께 사과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