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실 오후 2시부터
한노중 포함 장기요양 4개 단체 공동 주관
이종성 의원 등 국회 보건위 위원 공동 주최

여성경제신문이 한국노인복지중앙회 등 장기요양 4개 단체와 함께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처우개선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21대 국회에서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처우개선 관련법 개정안 발의에 힘써 온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도 공동 주최자로서 함께한다.
21일 한국노인복지중앙회 등에 따르면 본지와 장기요양 4개 단체는 오는 25일 서울시 여의도 국회의사당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처우개선 컨퍼런스'를 진행한다. 해당 컨퍼런스는 국내 노인 요양 시설 등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처우 개선을 위한 논의의 장으로 마련된다.
컨퍼런스는 한국노인복지중앙회(회장 권태엽)를 포함해 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회장 최장선), 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회장 박원),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회장 조남범) 등 국내 장기요양 4개 단체와 본지가 함께 공동 주관한다. 행사는 오후 2시부터 4시 30분까지 약 2시간 동안 진행된다.
특히 컨퍼런스에는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가 토론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장기요양 주무 부서 책임자인 문정옥 건보공단 요양기준실 실장과 이윤신 복지부 노인정책과 과장이 참여해 현장 목소리를 직접 듣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는 지난해 '치매병명개정 토론회' 등을 본지와 함께 공동 주최해 온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 주최자로 컨퍼런스에 함께한다. 이 의원은 21대 국회를 통해 꾸준히 장기요양 종사자 처우 개선을 위한 개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컨퍼런스 공동 주관 기관인 한노중 권 회장은 "발제자와 토론자들의 주장만 귀담아들어도 노인복지 분야의 현안인 ‘종사자 처우개선 전략’은 충분히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며 "문제는 실행력이다. 지금껏 논의된 것에 더해 토론회에서의 논의를 보다 적극적·공세적으로 집행하는 것만이 현재의 문제 해결의 첩경이 될 것이다"면서 컨퍼런스 주관 소감을 전했다.
한국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 최 회장도 "장기요양시설의 종사자 못지않게 재가, 즉 방문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 또한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면서 "요양보호사를 '아줌마'나 '파출부'쯤으로 여기는 서비스 대상자 보호자의 인식을 전환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홍보 노력도 수반되어야 한다"며 컨퍼런스를 통한 종사자 인식 개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공동 주관 언론사 여성경제신문 정 대표는 "초고령화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만큼 요양보호사는 다가올 초고령사회의 최전방 버팀목"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컨퍼런스는 시의적절하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행사를 공동 주관한 장기요양 4개 단체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언론사의 역할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과 김원이, 남인순, 최종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한다.
아래는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처우개선 컨퍼런스 안내 포스터.

관련기사
- 원희룡, 복지시설 단체 만나 "주거복지 지원 위해 노력하겠다"
- 한노중 "대통령실, 장기요양정책위원회 설립 공약 이행하라"
- 보건부·복지부 분리 尹 공약 흐려질 듯···조규홍 "통합 형태로 가야"
- 복지부 장관 후보도 보건계···윤석열 정부, 복지 전문가 '공백' 논란
- "복지 현장 목소리 최우선 듣겠다"던 尹···인수위에 현장전문가 없다
- 원희룡 "복지국가위원회 설립하겠다"···국민의힘, 사회복지정책 아젠다 발표
- 윤석열, 전국 장애인 시설 돌며 현장 목소리 듣는다
- "사회복지부를 보건복지부에서 분리하라"···사회복지단체, 뿔났다
- 관리비 380만원 중 난방비 340만원···노인 요양원 비상
- 노인학대 근절 결의... 한노중 "인권 제고 위해 노력"
- 요양병원 간병비 건보 적용 윤석열 공약에 요양원 반발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권태엽 회장, 재선 성공
- 동진제약, 한국노인복지중앙회 물품 후원
- '장기요양 살려주세요!' 한노중, 릴레이 1인시위 대장정 돌입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선해야"
- "노인요양 종사자 처우 개선해야"···한노중 1인 피켓 시위
- [NO老케어] ④ 결국 대안은 '지역사회케어'지만, 갈 길 먼 한국
- [NO老케어] ③ 땜질 투성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노노케어 무방비
- [NO老케어] ② 노인 학대 오명 쓴 요양원···노노케어의 그늘
- [NO老케어] ① 죽어야 끝나는 가족 요양···"나 아니면 누가 돌보나"
- 건보공단, 요양보호사 전문성 높인다···내년부터 보수교육 의무화
- 치매병명개정안 6건 폐기 위기···복지부 "인지저하증 개정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