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2 노인실태조사' 실시
1957년 이전 출생자 3010명 대상
조사 대상 6.5%는 80세부터 '노인'

"60대? 아직 청춘이지~"
65세 이상 고령층이 스스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기준 나이가 적게는 70대, 많게는 80대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서울시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2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서울시가 2년마다 실시하는 정기 조사로, 작년 6월부터 두 달 동안 서울에 사는 1957년 이전 출생자 301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 스스로가 생각하는 노인 기준 연령은 평균 72.6세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노인 기준인 65세보다 7.6세 높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통해 조사한 노인 기준 연령대도 비슷했다. 이에 따르면 노인 중 52.7%는 '만 70~74세'를, 14.9%는 '만 75~79세'를 노인 기준 연령으로 봤다. '80세 이상'이라는 생각도 6.5%나 됐다.
앞서 지난달 30일 본지가 보도한 '65세부터 '노인' 누가 정했길래···기준 연령 "상향해야"' 기사를 보면 국내에선 1956년 국제연합(UN)이 '65세부터 노인'이라고 지칭한 이래 지금까지 65세가 고령화를 가늠하는 척도가 됐다. 이때부터 한국의 모든 연금제도 등이 65세를 기준으로 운용됐다.
일각에선 기대수명 증가세와 최근 급격히 상승한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 일부 지자체에선 실제 노인 기준 연령 상향을 검토 중인 상황이다. 대구시는 최근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만 65세에서 70세로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서울시도 연령 기준 개편에 나설 뜻을 밝히면서,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을 국가가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해외의 주요국 사례를 보면 미국은 노령·유족·장애인 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이 66세이며 정년은 폐지된 상태다. 일본은 국민연금과 후생 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이 65세다. 법적 정년이 65세로 늦춰졌고, 기업에는 만 70세까지 계속 고용 의무가 부여된다. 독일은 법정 연금보험 등 공적연금의 수급 개시연령과 정년 모두 2029년까지 65세에서 67세로 늦춰진다.
이동률 서울시 대변인은 최근 시청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을 통해 "2050년에는 고령인구 비율이 4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래세대를 위해 정부, 지방자치단체, 국회가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지하철 무임승차 '70세 상향'에 홍준표·윤상현 격돌
- 2010년대생 노인 되면 10명 중 3명은 빈곤
- "노인 무임승차로 지하철 적자"?···"본질 빠진 논란"
- [현장] 전단지 알바 뛰어드는 시니어···자칫 과태료 덤터기 쓸 수도
- 65세부터 '노인' 누가 정했길래···기준 연령 "상향해야"
- 복지부에 장례 관련 부서도 없는데···사망자 수 50만명 시대 임박
- 취약층 난방비 대폭 감면한다는데···10가구 중 4가구 혜택 놓쳐
- 58년 개띠에 외면받는 '경로당'···치매쉼터로 확대 고려해야
- 치매 병명, 국민이 제안한 대체어는?··· 동심증·해미증 등 '다양'
- 여성 인구 20% '고령층'··· 전체 인구 수 3년 연속 감소세
- 저출산 여파에 분유 생산량 반토막··· 유제품 업계 '실버푸드가 답'
- 성범죄 온상에 놓인 여성 시각장애인···"흰 지팡이 들기 무서운 세상"
- [현장] "고령층 디지털 격차 문제 해결"···국회 토론회
- '나이 65에 기저귀 차는 게 뭐 어때서?'···성인용 기저귀 공급량 증가세
- 80년 된 초등학교도 가차 없이 폐교···초·중·고 1만 곳 중 35% 역사 속으로
- 10년 일해도 월 300만원···장애인시설, 간호사 공백에 '불법의료'까지
- [NO老케어] ① 죽어야 끝나는 가족 요양···"나 아니면 누가 돌보나"
- [단독] 여성 장애인 16만 서울에 장애친화 산부인과 한 곳
- "국민 여러분 아파트 값 말고 경비원도 관심 가져주세요"
- '뒷방 노인네'는 옛말···60세 이상 근로자 10년 새 2배 증가
- 정년 64세로 연장한 프랑스···한국도 65세 연장 가능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