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의원 "자멸적 스모킹건 가능"
洪 시장 "평균 수명 20세 늘어"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 지하철의 무임승차 연령을 현행 65세에서 70세로 올린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국민의힘 당 대표 후보인 윤상현 의원이 반대 목소리를 내며 충돌했다.
윤 후보는 5일 페이스북을 통해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이라는 논의가 다시 한번 서울시 무상급식 사태와 같이 우리 당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는 자멸적인 스모킹건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인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발을 묶는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조정 논의는 원점에서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홍 시장과 서울시장이 연령 상향에 불을 지핀 상황을 언급하며 “하지만 이는 노령층의 현실을 간과한 수치 상의 계산법이다.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65세가 되면 수입이 없는 상태가 되는데, 벌이가 없는 65~69세는 결국 사각지대에 내몰리게 된다”고 지적했다.
윤 후보는 “국민의힘과 우파 정당의 올바른 방향은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높이자고 할 것이 아니라 대중교통 요금제 현실화 혹은 관련 공기업의 효율화에 대해 먼저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시장은 5일 저녁 KBS '9시 뉴스'와 인터뷰에서 윤 의원의 지적에 대한 질문을 받자 “당 대표 선거에서 당 지지율이 좀 저조하다 보니까 그런 말로 해서 좀 키워야 되겠죠”라고 응수했다.
그는 “노인복지법이 1981년 제정될 때 노인 연령을 65세로 정했는데, 평균 수명이 지금은 무려 20세가 늘었다”며 “(노인 연령을) 너무 급격히 올리면 문제가 되니까 적어도 (현재보다 5세 많은) 70세부터 노인으로 보는 게 옳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올해 ‘무료 버스 이용권’을 70세 이상 노인에게 지급하기로 이미 조례 제정을 했고, 지하철도 동일하게 무료 탑승 대상 연령을 높이기로 했다는 취지였다.
‘재정 적자가 예상되는데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는 “대구시 교통체계를 전부 개선하고 혁신하면서 올해부터 200억원 정도 적자 폭을 줄이는 걸로 목표를 설정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홍 시장은 앵커가 ‘중앙정부 지원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묻자 “지원을 해주면 참 좋겠다”면서도 “중앙정부가 SOC(사회간접자본)예산을 전국에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지원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러니 지방 사정에 따라 지방의 재량으로 맡겨줬으면 한다”고 했다.
서울시처럼 지하철 요금을 인상할 계획이 있는지 여부에는 “요금 인상은 통상적인 요금 인상으로 하는 게 맞다는 생각”이라며 “노인 복지 차원에서 접근을 해야지 단순히 '손해가 나니까 요금을 올리자' 그런 식으로 접근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