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편중·소비 둔화와 맞물려 취약성
과거 사례처럼 단기 급등락 후 충격 우려

중국 상하이 시내에 있는 대형 전광판에 상해증권거래소가 제공한 주가와 환율 정보가 보인다. /연합뉴스
중국 상하이 시내에 있는 대형 전광판에 상해증권거래소가 제공한 주가와 환율 정보가 보인다. /연합뉴스

중국 증시가 두 달 넘게 랠리를 이어가며 10년 만의 고점을 기록했지만 이를 실물 경기 회복으로 연결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중국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현금 창출력 없는 ‘거품’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29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노무라증권 루팅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가계의 자산 중 주식 비중은 극히 낮다”며 “증시 강세가 경기 반등을 이끄는 힘은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인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가계 자산에서 주식은 1.3%에 불과했고 부동산은 60%에 달했다. 루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가계 자산은 여전히 부동산이 지배적이어서 주가 상승이 가져올 수 있는 부의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일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 강세가 중국 경제를 되살리고, 특히 7월 주요 경제지표가 전반적 둔화를 시사한 이후 소비 회복을 이끌 것으로 기대했으나 실망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7월 주요 지표에서도 둔화 현상이 나타났다.

보고서는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희미해지고 대외적으로는 고율 관세가 수출을 제약하면서 하반기 성장률 전망이 악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랠리가 유동성 공급에 의존하고 있어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실제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26일 3,888.60까지 오르며 10년 만의 최고치에 올랐지만 은행 예금과 채권형 상품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단기적으로 증시로 유입된 결과라는 지적이다.

노무라는 특히 중국이 과거에도 증시 급등락에서 실질적인 경기 회복을 얻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2014~2015년 거품기에도 산업생산·소매판매·투자 등 주요 지표들은 둔화세를 보였고, 이후 회복은 정부의 부동산 부양책 덕분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면, 높은 레버리지 구조 속에서 금융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지목됐다. 급등 뒤 급락이 반복될 경우 오히려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경고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번 중국 증시 상황을 한국 사례와도 비교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재계 역시 "국내 역시 제조기업들이 해외로 이탈하고 생산성이 고갈되는 가운데, 증시만 단기 유동성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현상이 반복돼 왔다"며 "중국과 한국 증시는 구조적 취약성을 공유하고 있는 셈"이라고 진단했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