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들 매도로 전환
기업 위축 입법 가속
"망하라 고사지내나"

2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증시와 환율을 모니터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30.50p(0.95%) 내린 3,179.36로 장을 마쳤다. /연합뉴스
2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서 직원들이 증시와 환율을 모니터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30.50p(0.95%) 내린 3,179.36로 장을 마쳤다.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며 허니문 기간 랠리를 지속하던 코스피가 주춤하고 있다. 국장(한국 증시) 비중을 늘리던 개미(개인투자자)들은 믿었던 바와 달라지자 피해를 호소하는 모습이다.

29일 글로벌 금융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코스피지수의 지난 1개월 수익률은 -2.10%로 집계됐다. 코스피 50은 -2.20%이며 코스닥은 -0.84%다.

주요국 증시와는 정반대 모습이다. 같은 기간 미국 S&P500과 나스닥지수는 각각 2.18%, 2.72% 올랐고 일본 닛케이는 5.07% 상승했다. 중국 상하이(6.83%)도 강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지난 지난 4월 저점 대비 41% 넘게 급등해 3200선을 넘긴 바 있다. ‘코스피 5000’을 핵심 경제 공약으로 내건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에서 압도적 우세를 보이자, 외국인들이 ‘바이 코리아’에 나섰다. 

그런데 시장의 열기는 다시 반전을 맞았다. 당시 오름세를 고려하면 한 달 성적은 다소 초라하다. 지난 6~7월 8조 9736억원을 사들이며 지수를 견인하던 외국인이 순매도로 돌아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6999억원을 팔았다.

앞으로 상황도 녹록지 않다. 증시가 주춤하면서 증시 거래대금이 급감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거래대금은 지난달 말 16조 4556억원에서 21일 10조 6925억원으로 35% 줄었다. 증시 대기 자금으로 불리는 고객예탁금도 지난 19일 67조 493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조 1922억원 감소했다.

개미들은 기대했던 코스피 랠리가 사라져 손실을 입자 실망감을 표출했다. 2030 여성 위주 온라인 커뮤니티인 '여성시대'에는 "민주당 정 떨어진다. 지들 돈이 돈이 부동산에 있으니까 주식장은 망하라 고사 지내는 수준", "미국은 국회의원 돈이 다 주식에 있어서 지들 위해서라도 증시 올리는데에 목숨을 걸던데"라는 글이 올라왔다.

또한 "민생지원금 주지말고 주식이나 살려내", "주식 안 할땐 알아서 하겠지 싶었는데 내 돈이 걸려있다보니까 날카로워지는 건 사실이네" 등 정부를 향해 원성했다. 

노란봉투법 통과 환영하는 노동계 /연합뉴스
노란봉투법 통과 환영하는 노동계 /연합뉴스

코스피 랠리가 멈춘 것은 환율은 떨어지지 않는데 정부가 기업들을 옥죄고 있다는 평가 탓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더 세진 상법 개정에 이어 노란봉투법 입법이 실현되면서 기업 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기업 성장도 주춤하다. 코스피 12월 결산법인 731곳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59조795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3억 원(0.12%) 늘었지만, 순이익은 66조 1624억 원으로 1조 6598억 원(-2.45%) 줄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집계한 3분기 제조업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81로 나타났다. 직전 분기(79)보다는 높아졌지만, 여전히 기준치(100)를 밑돌아 16분기 연속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주가 상승은 기업의 성장 실현 가능성과 실적 개선이 함께 증명되어야 지속 가능성이 생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커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도 부담이다. 관세 압박에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기업 입장에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그럼에도 한국 증시만 유독 하락 폭이 큰 것은 정책 후퇴가 원인이다. 이 대통령의 증시 부양 의지에도 상속세 인하는 공염불이 됐고 배당소득 분리과세 도입 및 법인세 인상, 대주주 기준 강화 논란에 투심이 악화됐다.

코스피 약세가 두드러질수록 투자이민을 떠나는 개미들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달 20일까지 서학개미의 미장 순매수 금액은 2억 9061만 달러(4063억원)에 육박한다. 반면 코스피에서는 이달 21일까지 1238억원을 팔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투자자들은 수익률을 따라서 자금을 이동하는 특성이 있다"며 "국내 증시가 부진한 흐름을 보인다면 대체재로서 미국 증시 또는 가상자산으로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막기 위해 정부가 계속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성경제신문 이상무 기자 sewoen@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