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직접 시행 등 공공 역할 강조
부동산 거래 감독 조직 신설 추진
강남 3구·용산구 LTV 40%로 강화

정부가 첫 부동산 공급 대책으로 향후 5년 동안 수도권에 매년 27만 가구씩 총 135만 호의 주택을 착공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7일 오후 구윤철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주택공급 확대 방안은 LH가 직접 시행하는 등 공공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설계됐다. 앞으로 서울 도심과 수도권의 주택 공급은 공공 주도로 전면 전환된다. LH가 소유한 주택용지는 민간에 팔지 않는다.
대신 LH가 택지를 제공하고 민간이 자금조달과 설계, 시공 등을 전담하는 '도급형 민간 참여 사업'으로 아파트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실제 공급 때는 민간 건설사 브랜드를 달도록 하고 기존 공공주택과 달리 전용면적 84㎡ 이상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방식으로 2030년까지 수도권에 최소 7만5000가구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 외에도 LH가 소유한 상업·공공용지가 주택용지로 바뀔 예정이다. 이 경우 2030년까지 수도권에 최소 1만5000가구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LH 주도로 공공 도심 복합 사업을 벌여 2030년까지 수도권에 5만 가구를 착공할 계획도 세웠다.
서울 도심의 노후 공공임대주택과 공공청사도 재건축에 들어간다. 입지가 우수한 서울 강남, 강서, 노원 지역의 노후 공공임대주택의 재건축을 추진해 2030년까지 2만3000가구를 착공할 계획이다. 30년 이상 된 공공청사와 유휴 국·공유지를 활용할 경우 수도권에 2만8000가구를 추가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집값 상승을 부추기고 탈세 등을 조장하는 불법행위 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부동산 관련 감독 조직 역시 신설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권자도 시·도지사에서 국토 부장관으로 확대된다.
이날 발표에선 대출 규제도 포함됐다. 오는 8일부터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적용되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현행 최대 50%에서 40%로 추가 강화된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edia.co.kr
관련기사
- 누가 서울 아파트 값 띄우나?···계약 해지 1000건, '검은 손' 실체는
- '조각투자 장외거래소' 신설···금융위 "최대 2곳만 허용"
- '부실' MG손보 영업정지···가교보험사 '예별손보' 가동 시작
- 부실정리·서민금융 과제 떠안은 저축銀···이찬진 금감원장 첫 간담회
- '이재명 랠리' 믿었는데 피눈물···코스피는 왜 오르다 꺾였나
- 배당·안정성 함께 노린다···미래에셋운용 액티브 리츠 ETF 한 달 성과는?
- 中 증시도 버블업?···노무라 "실물경제 회복과 괴리한 거품"
- 베이비부머 은퇴 후 자산 해법은?···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 주목
- 재건축 힘 실은 9·7대책···분당·일산 ‘1기 신도시’ 웃는다
- 목동신시가지 재건축 본격 추진 기대감···추진위 승인 첫 사례
- 재건축 조합장 성과급 38억?···포상 관행에 논란 확산
- ‘서울 39만호 공급’ 청사진 현실성 논란···“정비사업 막힌 혈 그대로”
- [국감] LH 토지 보상금 9조원대에서 1조원대로···신규 사업 착수 위축 지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