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논문 표절률 37%, 48%
"범죄 수준, 즉시 사퇴하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6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6월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논문 중복게재와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이 제기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국민의힘이 사퇴를 촉구했다.

이준우 대변인은 6일 논평에서 “이 후보자의 연구 윤리 위반 의혹은 범죄 수준”이라며 “교육부 장관 후보자보다는 ‘연구 윤리 파괴자’라는 이름이 더 잘 어울릴 정도”라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이 후보자가 2018년 발표한 논문 두 개는 제목부터 데이터 구조, 결론까지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학계에 절대 용납되지 않는 학술지 중복 게재인 데다가 해당 논문은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과 ‘판박이 수준’이라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보도에 따르면 제자의 학위 논문을 표절한 것으로 의심되는 논문이 10개 이상이나 확인됐다”며 “반성은커녕 뻔뻔하기까지 하다. 국회의 자료 제출 요구에 제대로 응하지 않고 인사청문 제도를 우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자의 연구 성과를 가로채고 학계를 속인 사람이 교육의 백년대계를 책임질 교육 수장이 돼선 안 된다”며 “즉시 석고대죄하고 사퇴하길 바란다”고 했다. 

오는 16일로 잠정 예정된 국회 인사청문회에 이 후보자의 논문 관련 의혹이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2018년 4월 충남대 대학원에 제출된 A씨의 박사 학위 논문에 지도교수로 이름을 올렸다. 그런데 해당 논문은 이 후보자가 같은 해 2·3월 각각 발표한 두 편의 논문과 연구 설계 및 결론 부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씨 박사 논문과 이 후보자 논문 두 편을 표절 검사 프로그램인 ‘카피킬러’로 비교한 결과 표절률은 각각 37%와 48%로 나타났다. 학계는 통상 표절률이 25% 이상이면 실제 표절 여부를 검증해야 하는 수준으로 본다.

이에 대해 학계에선 지도교수였던 이 후보자가 제자의 연구 성과를 먼저 발표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 후보자의 논문은 교육부가 연구윤리지침을 통해 학생의 학위 논문을 지도교수 단독 명의로 게재·발표하는 행위를 금지한 2015년 이후에 게재됐다는 점에서 비판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교육부 인사청문회준비단은 “후보자가 2007~2019년 작성한 논문들은 총장 임용 당시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윤리검증위원회로부터 ‘연구 부정행위 없음’으로 공식 확인됐다”며 “논문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는 청문회 과정에서 충실하게 소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이상무 기자 sewoen@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