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작업 대조 결과 "설계·결론 해석까지 유사성 명백"
"학문 공동체 신뢰 훼손···대통령실 지명 철회해야"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범학계 국민검증단(이하 검증단)이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을 직접 대조한 결과 단순한 문장 표절을 넘어 구조적 유사성이 다수 확인됐다며 자진 사퇴를 강하게 요구했다.

검증단은 20일 발표에서 이 후보자 주요 논문들을 수작업으로 면밀히 대조 분석한 결과 "거의 데칼코마니 수준"의 구조적·내용적 유사성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번 검증은 이 후보자가 1 저자로 실린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 등의 논문을 정 모 씨의 박사학위 논문과 비교했으며 이 후보자가 1 저자로 실린 논문끼리도 일대일로 검증했다. 표절 탐지 프로그램의 한계를 넘기 위한 정밀 수작업 대조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단순한 문장 일치를 넘어 연구 목적, 실험 설계, 결과 해석, 문단 배열 등에서의 일치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검증 결과 이 후보자가 발표한 복수의 논문은 △같은 실험 설계·데이터를 활용해 제목만 바꿔 중복 발표 △문단 구조·결론·해석 모두 유사 △IRB(연구 윤리심의)·사사(연구 지원 표기) 미기재 및 기본적 연구 윤리 무시 △복수 논문 간 중복게재 및 제자 논문의 반복 활용 정황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검증단은 "이상의 결과는 단순한 중복게재나 유사성의 문제가 아니라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 윤리를 정면으로 훼손한 중대한 사안임이 명백하다"라며 "이 후보자는 교육계의 신뢰를 위해 자진 사퇴해야 하며 대통령실은 즉각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연구 윤리를 어긴 자가 교육부 장관직에 오르는 순간 대한민국의 학술 시스템과 연구 윤리 기준은 무너진다"라며 "이번 사례는 단순한 표절 논란이 아닌 학문 공동체 전체의 신뢰를 송두리째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후보자와 같은 정도의 유사도면 학계에서는 심사 통과 자체가 불가능하다. 학계 기준으로 볼 때 이 후보자의 논문은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하며 이는 장관 후보 자격 박탈 사유로도 충분하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단체는 "국가 교육정책을 책임질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학문적 윤리를 스스로 저버린 것은 대한민국 고등교육과 연구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다"라며 "더는 학계의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덮을 수 없다.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앞으로도 공직 후보자의 학문 윤리 문제에 대해 독립적이고 투명한 방식으로 국민 앞에 진실을 밝히겠다"라고 했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