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안팎의 추가 소비 효과 전망
대형마트 제외, 편의점만 수혜 우려
전문가 “유통업계 균등 포함 필요”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으로 전 국민에게 최소 15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민생 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결정하면서 실제 소비 진작 효과가 두드러질지 이목이 쏠린다. 다만 추경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유통업계에서는 희비가 엇갈리는 상황이다. 소비쿠폰 사용처가 대형마트나 백화점, 이커머스 등은 제외될 것으로 예상돼 형평성에 어긋난단 목소리도 나온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정부가 투입한 돈의 40% 안팎 규모로 신규 소비 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예컨대 4인 가구가 100만원을 받으면 약 40만원이 추가 소비로 연결될 것이란 예상이다.
앞서 코로나19 당시 재난지원금은 지급액의 20~40%가 새로운 소비로 이어졌고, 나머지는 기존 지출을 대체하거나 저축으로 돌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비춰 봤을 때 이번 소비 효과도 지난번과 유사한 규모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여러 대학 연구진의 조사에서도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비 유발 효과가 전체 투입 예산 대비 26.1~36.1%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업종별로는 대면 접촉이 필요 없는 (준)내구재와 필수재에서 효과가 크고 대면 서비스업과 음식업에선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만 이번엔 팬데믹과는 달리 대면 소비가 활발하되 내수가 장기간 침체됐기 때문에 소비 효과는 더 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이번 소비쿠폰 사용처의 수혜를 입을 주요 업계는 외식업계, 편의점 등 가맹 중심의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예상된다. 아직 구체적인 사용처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대형마트와 SSM(기업형 슈퍼마켓)은 적용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크다.
앞서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 당시에도 대형마트, 백화점, 이커머스, 대규모 프랜차이즈에서는 사용이 불가했다. 가맹점에서도 매출액 30억원 이하 업장으로 한정해 사용이 가능했다. 이번에도 이와 유사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최근 초저가 소비 트렌드에 부합해 떠오른 다이소도 매장별 매출액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대형마트나 백화점, SSM(기업형 슈퍼마켓) 등 유통업계에서는 불만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경기 불황에 따른 소비 침체로 오프라인 중심의 모든 유통 기업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특정 업종에만 소비처를 한정하는 것이 진정한 소비 효과를 도출해낼 수 있겠냐는 의문에서다.
대형마트, 백화점과 매출 규모가 비슷한 편의점만 사용처에 포함하는 것은 소비자 몰림이 한쪽에만 치우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서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편의점 누적 매출이 25조8000억원으로, 동기간 백화점 매출 25조4000억원을 넘어서며 편의점이 오프라인 유통의 '제왕'으로 부상했다.
특히 대형마트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형마트는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월 2회 의무 휴업과 심야 시간 온라인 배송 금지 등 여러 규제를 받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정책 방향이 확정된 건 아니지만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며 “만약 이번에도 대형마트가 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될 경우 편의점이나 식자재마트 등 일부 업종으로 소비가 몰릴 가능성이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다만 편의점은 가맹점 중심의 프랜차이즈 업태인 만큼 다른 유통채널과는 구분해볼 필요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게다가 최근 소비 침체로 편의점 매출도 주춤하는 상황이라, 이번 지원금 사용처에 포함될 경우 매출 회복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 '3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편의점 매출액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0.4% 감소했다. 편의점업계의 분기 매출액 규모가 1년 새 줄어든 것은 지난 2013년 이후 처음이다.
일각에서는 오프라인 유통업계에 대한 형평성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온라인 중심 소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소비자 수요가 존재하는 만큼, 특정 업종이나 규모에 따라 지원금 사용처를 제한하는 것은 오히려 소비자 선택권을 좁히고 정책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에 “오프라인 유통점이 어려워지는 건 결국 소비자에게도 불리한 일이다. 온라인 쇼핑이 불편하거나 어려울 때 갈 수 있는 곳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라며 “그래서 오프라인 유통점도 가능하면 균등하게 사용처에 포함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만약 대형마트 등을 제외할 거라면 연매출 10억원 같은 기준으로 줄여야 취지에 맞다. 프랜차이즈라도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은 개별 점주가 운영하는 곳이니 사용 가능하게 하고, 대형마트 역시 직원과 근로자들이 있는 만큼 형평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처럼 재벌급 병원이나 일부 업종에만 혜택이 몰리면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여성경제신문 류빈 기자 rba@seoulmedia.co.kr
관련기사
- 티몬 인수 앞둔 오아시스, 고용 보장 약속에도 ‘인력 구조조정’ 논란
- '대롱대롱·미노스'로 레트로 입맛 저격···식품업계 '추억의 간식' 부활
- 청산 위기 '홈플러스', 10년 만에 매물로···인수자 찾기는 '난망'
- 이상기후에 무너진 패션 성수기···여름 매출 없인 생존 없다
- 이재명 대통령 당선, 소비 진작 이끌까···국내 유통업계 변화에도 ‘촉각’
- 위기의 오프라인, 이랜드리테일도 생존 몸부림
- “내 정보는 안전한가?”···개인정보 줄줄 새는 유통업계, 소비자 보호 대책 있나
- 교촌치킨, 쿠팡이츠 떠난다···배달앱 독점 계약 전쟁 시작되나
- 취임 후 첫 시정연설 나선 李, "경제는 타이밍···골든타임 놓쳐선 안 돼"
- 李정부 19.8조 빚내 퍼주기 추경···서민 물가 상승 우려
- C커머스 이어 오프라인도 진출···중국 기업, 국내 유통시장 판 흔든다
- 오프라인 유통업계, '퀵커머스'로 돌파구 모색···수익성 확보 과제
- '소비쿠폰 신청 첫날' 카드사 앱·홈페이지 폭주···일부 접속 불가
- ‘알뜰 vs 플렉스’···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쓸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