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XO연구소, 6월 말 그룹 총수 주식 재산 분석
김범수 카카오 의장 4조2973억, 4위로 밀려나

최근 6개월 사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주식 재산이 9000억원 이상 증가하면서 주식 재산 3위에 올랐다. 반면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주식 재산이 1조8000억원 넘게 감소하며 4위로 밀려났다.
4일 기업 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88개 대기업집단 중 6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이 넘는 그룹 총수 46명의 주식 재산을 분석한 결과 주식 재산 1위는 삼성 계열사 주식 15조7541억원어치를 보유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으로 나타났다.
2위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10조837억원)이며 3위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4조6618억원)이다. 이어 김범수 카카오 의장(4조2973억원), 방시혁 하이브 의장(2조6631억원)이 뒤를 이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주식 재산은 올해 1월 초 기준 3조7377억원에서 9241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정의선 회장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을 제치고 주식 재산 3위에 올랐다. 당초 6조1186억원을 갖고 있었던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1조8213억원 줄어든 4조2973억원을 기록, 4위가 됐다.
방시혁 하이브 의장은 대기업집단에 추가된 5월 기준 주식 재산 6위에서 한 달 만에 5위로 상승했다. 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2조4727억원),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2조2592억원),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2조2162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2조579억원), 구광모 LG그룹 회장(2조227억원)이 주식 재산 '톱10'에 들었다.
이들을 포함해 주식 재산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그룹 총수는 총 16명으로 나타났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부친인 고(故) 조석래 회장의 주식을 물려받으며 최근 3개월 사이 주식 재산이 60% 넘게 늘어나 1조3541억원이 됐다.
또 올해 2분기(지난 3월 말부터 6월 말까지) 그룹 총수의 주식 재산 증감률을 조사한 결과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의 주식 재산 증가 폭이 40.8%로 가장 컸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은 27.9% 상승하였으며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26.8%,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2.5% 상승했다.
반면 주식 재산 감소율이 가장 높은 그룹 총수는 28.8% 감소한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이었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도 24.3% 하락하였으며 13.5% 하락한 방준혁 넷마블 의장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 개각 시동 건 尹···금융위원장에 거시경제통 김병환 지명
- “땡큐 바이든”···미국 전력 생태계 재편에 에너지業 ‘방긋’
- [the우먼] '아트밸리 아산' 플랜의 주역···유성녀 아산문화재단 대표
- 점입가경 영풍과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국내 아연 생산·수출 불똥 튀나
- 베트남 서열 3위 만난 정의선···경제협력 확대 논의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인천 락 페스티벌 스폰서십 참여
- AD) 현대차, 美 '파이크스 피크 힐 클라임' 대회서 양산형 전기차 최고 기록
- 정의선 고집 통한 수소차···현대車 글로벌 판매량 4만대 돌파
- 유럽 수출기지 공들이는 정의선 '앙카라 한국 공원' 새 단장
- 검찰, 'SM엔터 시세조종' 개입 의혹 김범수 소환
- 이재용 구속 한정석 판사···김범수 영장실질심사 장고 돌입
- 美 대선에 들썩이는 반도체···최태원 SK 회장 "정부 적극 지원 필요"
- '총수' 김범수 결국 구속··카카오뱅크 대주주 자리도 '위태'
- 혼외자 생모 회사는 계열사 아니다?···과태료 안 내는 셀트리온의 버티기
- 하이브리드에서 전기차로 방향 바꾼 인도네시아···전기차 주력 현대차 기회
-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인도법인 증시 상장 맞춰 모디 총리 면담
- 남 다른 LS그룹의 기술 나눔···전계열사 투입해 협력사 지원
- 효성 '조현준 원탑' 체제로···효성중공업까지 직접 챙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