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서울·수도권 우세···지역구도 여전
단일대오 국민의힘 위성정당 지지 29%
'검찰 정권 심판해야 한다' 응답자 57%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해 10월 26일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민생파탄·검찰독재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해 10월 26일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민생파탄·검찰독재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을 한 달여 앞두고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을 앞서지만, 유권자들은 여당의 '운동권 심판론'보다는 '검찰 정권 심판론'에 더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뿐 아니라 '정부 견제론' 역시 과반을 기록해 현 정권에 대한 부정적 정서가 6일 재확인됐다.

코리아타임스-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5일 이틀간 진행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이번 총선에서 검찰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57%로 절반을 넘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37%에 그쳤다. 구체적으로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하면 모든 연령대에서 심판론이 절반을 넘었다.

중도 이념 성향의 경우 공감(61%) 비율이 비공감(34%)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이와는 반대로 '운동권 정치를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 비율은 48%에 머물렀다. 60대와 70대 이상에서만 '공감한다'는 답변이 50%를 넘었고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4%에 그쳐 오차범위를 벗어나지는 않았다.

특히 '86 운동권'과 거리가 먼 20대에서는 공감하지 않는다 45%, 모름·무응답이 20%였고 공감한다는 답변은 34%에 그쳤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공감(46%)과 비공감(48%)이 팽팽하게 맞섰다. 86세대와 가까운 40대에선 공감 41%(비공감 56%), 86세대가 일부 속한 50대의 경우 공감과 비공감 모두 48%였다. 

조선일보 등 일부 보수 언론 기획 아래 한동훈 위원장이 함운경·김영주 등 야권 인사를 영입하며 '운동권 특권 정치 청산'을 띄우고 있지만, 세대와 진영을 아우르는 공감대를 끌어내지는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이 선거 초반부터 86 운동권 청산론을 내걸고 더불어민주당 출마 예상자를 겨냥한 저격 준비를 했으나 막상 대상이 링 위에 올라오지 않아 김이 빠진 모양새가 됐다.

여당이 설정한 이념 대결 구도에 말려들지 않으려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전략이 통한 것이다.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컷오프 대신 서울 중성동갑에 내세운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표적 감사에 맞서 싸웠고, 경기 용인정 이언주 전 의원도 윤석열 정권 심판을 강조한 인물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는 민주당이 34%로 앞서고, 국민의힘이 32%로 뒤를 이었다. 마찬가지로 인천과 경기도에서도 민주당이 35%로 선두를 달리고, 국민의힘이 29%로 뒤를 이었다. 대전·충청 중부지방에서는 국민의당이 35%의 지지율로 민주당(30%)에 앞서나갔다. 영호남 간 대립 구도는 여전했다. 국민의힘은 대구·경북에서 52%, 부산·울산·경남에서는 45%의 지지를 얻었다. 광주·호남 지역에서는 민주당이 48%의 지지를 얻어 국민의힘을 압도했다.

비례대표 정당 선호도에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창당한 조국혁신당이 15% 지지율을 얻어 눈길을 끌었다. 비례대표제는 득표율에 따라 정당에 비례 의석을 부여하는 제도로, 준연동형제가 실시되는 올해 선거에서는 46석 배정돼 있다. 보수적(3%에 1석)으로 계산해도 5석을 확보한 셈이다. 전체 응답자의 29%는 국민의힘의 단일대오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에 투표하겠다고 답해 조국혁신당과 지지층이 분산된 민주당 위성정당 더불어민주연합(21%)과는 차이를 보였다.

정권 지원론과 심판론 중에는 여전히 심판론이 강했다.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52%로,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38%)는 응답을 웃돌았다. 특히 총선의 승부처로 꼽히는 서울(56%), 인천·경기(53%), 대전·세종·충청(54%)에서 모두 정권 심판론이 앞섰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을 제외하면 모든 연령대에서 심판론이 58%를 넘어섰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35%, 부정 평가는 61%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코리아타임스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지난 4~5일 이틀간 실시했다. 3개 통신사에서 제공된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 무작위 추출을 사용했다. 응답률은 10.2%였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4년 1월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권역 성 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