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간담회서
당내 실언 논란 지적

국민의힘이 이태원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조사위원회'에 불참한 가운데, 20일 희생자 유가족 협의회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유가족들은 국민의힘에 조속한 국정조사 복귀를 촉구하며 울분을 토했다.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9 간담회실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주호영 원내대표를 비롯해 국민의힘 소속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인 이만희·박성민·조은희·김형동 의원, 정희용 원내대표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주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지금 생각해도 어떻게 대체 이런 일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지금도 상상이 안 되고 이해도 잘 안 된다”며 “소중한 자녀와 형제를 잃은 유가족들은 오죽하겠나. 제가 아무리 슬퍼하고 비통해 해도 여러분 마음을 10분의 1이라도 이해하기 힘들 것”이라고 위로했다.
이어 “수사든 국정조사든 나중에 필요하면 특검 등을 통해 진상을 철저히 밝혀서 책임을 물어야 할 사람들에게 책임을 철저히 묻고, 철저한 배·보상을 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촘촘히 짤 것”이라고 약속했다.
하지만 유가족들은 국민의힘이 하루라도 빨리 국정조사에 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우 고(故) 이지한 씨 아버지인 이종철 유가족 협의회 대표는 “예산안 처리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와 무슨 관련이 있느냐”며 “예산안 심의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이 무슨 상관이 있어 딜을 하고 협상하나”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국회가 동네 이장 회의는 아니지 않나. 저희를 위해 일을 해주셔야 한다. 비참한 일, 억울한 일을 당했을 때 도와달라고 국민들이 당신들을 대표해서 뽑았다”며 “당장 내일이라도 국정조사에 복귀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정민 협의회 부대표는 "정부, 여당에서 저희가 자꾸 정치적으로 간다고 우려한다. 지금까지 정치적으로 이야기한 게 없다. 왜 자꾸 그런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저희가 요구하는 건 다 아시겠지만 절대 무리하거나 수용하기 힘든 게 아니다"고 강조했다.
최근 불거진 국민의힘 당내 실언 논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앞서 김미나 국민의힘 창원시의원은 지난 12일 페이스북에 “자식팔아 장사한단 소리가 나온다”는 등 유족을 비하하는 글을 올렸다. 이후 시의회 차원에서 징계요구가 있었지만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은 아무도 서명하지 않았다.
또한 김상훈 의원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를 향해 "국가적 비극을 이용한 참사 영업을 하려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해 구설수에 올랐다.
이 부대표는 "2차 가해는 다른 국민이 하는 게 아니다. 국민의힘 간판을 가지신 분들이 어떻게 입들이 그렇게 더럽냐"면서 "시체 팔이? 당신들 자식이 죽었는데 국회,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과 경찰관이 수사 안 하고 있으면 분통이 안 터지겠냐"고 성토했다.
국민의힘의 국조특위 복귀 가능성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예산안 처리가 먼저라는 입장이어서 늦어졌다"며 "유족의 목소리를 충분히 들었다. 국정조사 위원들이 다시 모여서 회의를 하고 민주당이 전향적인 자세로 나오면 정상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야당 단독으로 열린다
- "꽃 같던 그대들 잘못 아니다"···이태원 참사 49재 추모 위령제
- [기자수첩] '희생양' 찾기에만 골몰하는 대한민국
- 與 "약자 동행" 野 "이태원 참사 규명"···성탄절 '민생브리핑'은?
- 10여일 남은 이태원 국정조사···증인·기간 연장에 입장차
- 예산안 지각처리에도 '지역구 챙기기'···'깜깜이 심의' 구태 반복
- 이태원 국조에 강대강 대치···與 “국민 동의” vs 野 “당연히 연장”
- 이태원 유족과 멀어지는 與···세월호 되풀이 우려
- '이태원 막말' 김미나 시의원, 제명 부결···의원직 유지
- 이태원 국정조사 '반쪽' 종료···진상규명 이어가나
- 민주당, 이상민 탄핵소추안 당론 발의 결론 못 내
- 늦어도 3월까지는···野 사의재 "특조위 구성해야"
- [속보] 이상민 장관 탄핵소추안 가결···헌정사 최초(종합)
- "억울한 죽음 반복되지 않길"···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 물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