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시민·종교계 애도
특별법 제정 촉구 행진
尹, 별도 추도 예배 참석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마련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의 추모 공간에 국화꽃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에 마련된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의 추모 공간에 국화꽃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10·29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된 29일 서울 곳곳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선 시민들이 쪽지를 붙였다. "기억하고 있어요. 억울한 죽음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길", "그곳에서는 편안하시길 바랍니다", "국가의 무책임에 너무 죄송합니다", "다시는 이런 아픔이 없는 세상 되기를 바랍니다"라는 등의 추모 메시지다.

참사가 일어났던 골목 입구 '추모의 벽' 앞에는 추모객들이 가져다 놓은 꽃과 음료, 과자들이 수북하게 쌓였다. '10·29'라는 메모가 적힌 포스트잇들도 곳곳에 자리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서는 4대 종단 기도회로 추모대회 사전행사가 진행됐다. 주최 측 추산으로 유족 100여명을 포함해 500여명이 참석한 기도회에서는 원불교, 개신교, 불교, 천주교 순으로 각 종단 인사들이 나와 10여 분씩 기도와 독경을 하며 희생자 159명의 넋을 위로했다.

유족과 종교계 인사들은 기도회 중에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29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 미사에서 유가족이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서울 중구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 미사에서 유가족이 눈물을 닦고 있다. /연합뉴스

기도회가 끝난 뒤에는 추모의 벽에 헌화한 뒤 용산 대통령실 앞, 삼각지역 등을 거쳐 분향소가 마련된 시청역 5번 출구까지 행진했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인 유연주(카타리나) 씨의 아버지 유형우 유가족협의회 부위원장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참사가, 저희 아이들에게 미안하고 너무 안타까울 뿐"이라며 진상 규명 및 희생자 영혼의 안식을 위해 함께 기도해 주셨으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

유족들은 오후 5시 서울광장에서 본 추모대회를 열고 참사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 후속 조치를 촉구했다. 대회에는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롯해 야당 지도부 등 정계 인사도 참석했다.

대통령실은 해당 대회가 민주당 등 야4당이 주도하는 '정치 집회'로 보인다는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의 불참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성북구 영암교회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도 예배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오늘은 제가 살면서 가장 큰 슬픔을 가진 날"이라며 "반드시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그분들의 희생을 헛되게 만들지 않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