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언, “유튜버가 정치 휘둘러” 공개 저격
12·3 계엄 때 “체포조 왔다” 주장한 김어준
李 관봉권 띠지 수사 개입이 의문 더 키워

지난해 5월 16일 노무현 대통령 서거 15주기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한 곽상언 더불어민주당과 김어준 씨의 화기애애했던 모습. /페이스북 갈무리
지난해 5월 16일 노무현 대통령 서거 15주기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한 곽상언 더불어민주당과 김어준 씨의 화기애애했던 모습. /페이스북 갈무리

정부와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 방송인 김어준 씨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특히 주류인 친명계가 김씨와 선을 긋는 모습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비상계엄 조치에 대한 내란성 규명에 균열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운다.

7일 곽상언 민주당 의원이 페이스북에 ‘김어준 생각이 민주당 교리(敎理)… 정당 기능마저 넘긴 집권여당’이라는 주간경향 보도를 공유하며 “특정인(김어준)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 ‘민주적’ 결정이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해당 기사는 민주당 내부에서 김씨에 대한 비판조차 불허하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곽 의원은 “유튜브 권력이 정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며 김씨를 공개 저격하는 표현까지 썼다. 이어 김씨 방송이 민주당 전략 메시지를 사실상 대체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김어준의 생각이 교리처럼 굳어버렸다”고 꼬집었다.

주목할 점은 이 비판이 친명계에서 나왔다는 사실이다. 이는 김씨의 독자적 영향력이 이재명 대통령의 통치 행위마저 위협할 만큼 커졌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동시에 민주당 입장에서는 딜레마이기도 하다. 김씨는 그간 내란 프레임을 강화하는 데 기여해온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는 실제로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계엄군 체포조가 집 앞에 왔다”며 자신이 체포 대상에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사실상 내란을 자백한 것”이라고 발언한 한동훈 전 대표의 주장과 맞물리며 '홍장원 메모'와 함께 특검 추진 논리에 힘을 보태는 역할을 했다.

특히 김씨는 지난해 말 조국·양정철 등 특정 정치인들의 이름이 포함된 ‘체포·사살 명단’을 거론하며 자신도 대상에 포함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박선원 의원 등 민주당 인사들이 해당 명단 작성과 공개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내란 프레임이 확대 재생산됐다. 

이런 전력이 있는 김씨와 친명계의 충돌은 특검 논리의 신뢰도 자체를 약화시킬 수밖에 없다. 조은석 특검이 한동훈 전 대표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계획인 가운데, 내란 성격 규명의 핵심 인물인 김어준 씨와 친명계가 대립각을 세우는 구도는 계파 갈등을 넘어 특검 논리 자체를 흔드는 모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 체제의 민주당은 내란 프레임의 허약함을 감추기 위해 ‘더 센 특검법’ 개정과 재판 중계 의무화를 서두르고 있다. 내란 규정의 법리적 취약성을 정치적 쟁점화로 덮겠다는 전략이지만 무리한 입법 독주는 오히려 내부 균열을 드러내는 실정이다. 여기에 김어준 씨를 둘러싼 논란까지 겹치면서 조은석 특검의 스텝이 완전히 꼬였다.

지금까지 내란 프레임을 고수해 온 조갑제 등 극우 논객마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건희 여사 비리를 덮기 위해 계엄을 단행했다”는 주장으로 말을 바꾼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사건을 특검이 수사해야 한다고 공개 지시한 논란까지 겹쳤다. 정치권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이 사실상 교통정리에 나서고, 김어준은 꼬리 자르기 대상이 되는 모양새가 됐다”며 “내란 특검 추진 세력이 카오스에 빠져드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