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 진영 조은석 타깃으로 한 음모론
조선일보 ‘교회 압수수색’ 허위 적시
손현보 vs 전한길 갈라치기 하다 왜?
특검 "언론 자격 없다" 엄정 대응 방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첫 한미정상회담에서 한국 특검 수사와 관련해 돌발 발언을 내놨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국회가 임명한 특검이 사실 조사를 하고 있다”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끼어들어 “혹시 그 특검이 ‘정신 이상자(deranged)’ 잭 스미스 아니냐. 미국에서 데려간 것 아니냐. 그는 병든 사람”이라고 말했다.
트럼프가 지목한 잭 스미스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임명돼 2020년 대선 결과 번복 시도 및 기밀문서 불법 유출 의혹을 수사하며 트럼프를 직접 기소했던 인물이다. 트럼프 입장에서는 ‘구원’이 있는 상대다. 실제로 스미스는 올해 초 트럼프의 재집권 직후 사임했고, 현재는 오히려 선거 개입 혐의로 미국 정부 특별감찰관실 조사를 받고 있다.
문제는 이 발언이 한국 국내 언론과 정치권에서 곧바로 ‘내란특검’과 연결돼 해석됐다는 점이다. 한국에서는 트럼프의 ‘잭 스미스’ 언급이 조은석 특별검사팀을 지칭한 것처럼 받아들여졌고 “트럼프가 내란특검을 비판했다”는 식의 보도가 이어졌다.
조선일보도 바통을 이어받아 15일자 사설에서 “내란특검이 교회를 압수수색했다”고 단정했다. 그러나 조은석 특검은 교회 수사한 사실이 전혀 없으며 채 상병 사건을 수사한 다른 특검의 여의도순복음교회 압수수색과 혼동한 것이었다. 조선일보는 뒤늦게 온라인판에서 “교회”라는 문구를 삭제했지만 이미 ‘특검이 교회를 압수수색했다’는 프레임은 퍼져나갔다.
결과적으로 트럼프가 미국 내 정치 경험을 빗대어 농담한 발언이 한국 정치권과 언론에서 과장된 ‘내란특검 음모론’으로 번역된 셈이다. 그리고 조선일보는 이 과정을 이용해 “정치 보복”, “망신주기”라는 식의 비난을 특검에 쏟아내며 마치 트럼프를 흉내 내는 듯한 사설을 내놓은 셈이다.
이런 트럼프 흉내내기 사설은 손현보 부산 세계로교회 목사의 구속 사태와 무관하지 않다. 손 목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주도한 개신교계 단체 ‘세이브코리아’ 대표로 최근 사전 선거운동 및 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손 목사의 행보는 정치와 종교의 경계를 넘나들었다. 대선과 교육감 선거에서도 특정 후보 지지를 공개적으로 호소한 정황이 수사 결과 드러났다.
조선일보는 과거 전한길 강사를 국민의힘을 흔드는 극우적 인물로 묘사해 왔다. 그러나 정작 전 강사를 지원해온 손현보 목사 사안에서는 정반대 태도를 보였다. 전 강사를 ‘위험한 변수’로 규정해 보수 내부의 균열을 부각하다 손 목사에 대해서는 ‘종교 탄압의 피해자’로 포장하며 비호에 나선 것이다.
정치권에선 손현보 목사 지키기에 나선 국민의힘 장동혁 지도부에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손 목사 비호가 단순한 종교 문제를 넘어 정치적 편향과 책임 공방으로 비화할 경우 지도부 전체가 부담을 떠안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란특검 역시 즉각 반박에 나섰다. 박지영 특검보는 정례 브리핑에서 “내란특검이 교회를 압수수색한 사실은 없다. 이는 국민 누구나 알고 있는 공지의 사실”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그럼에도 유력 언론이 허위 사실을 적시해 특검을 정치적으로 매도한 건 악의적이고 비열한 작태”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특검보는 “내란특검은 강제 수사를 최소화하면서 절제된 수사를 해왔다”며 “그런데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않고 허위를 기재한 건 언론으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검이 교회를 압수수색했다는 주장은 내란특검을 흔들기 위한 허위 프레임일 뿐”이라며 “엄정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또한 조선일보 사설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특검에 더 증언할 내용이 없다고 기술한 것에 대해서도 “참고인 조사는 피의자가 아닌 제3자에게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정상적 절차”라며 “형사사법 절차상 진술증거 확보와 책 출판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설명했다.
박 특검보는 “누구나 아는 상식인데도 자서전을 근거로 정치 보복 운운하는 건, 교회 압수수색 허위 사실과 마찬가지로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검찰 출신 법조인들도 “한 전 대표가 법조인 시절, 정치인이 ‘제 책을 보라’며 조사를 거부했다면 가만두지 않았을 것”이라며 조선일보의 논리를 비꼬았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
관련기사
- 비화폰이 뭐길래?···조희대 대법원장 통화기록 까자는 김어준팀
- 족벌언론 비유에 최민희 발끈?···검언유착 김어준이 더 심했다
- 이재명계 vs 김어준 전면전 격화···조은석 특검의 흔들리는 핸들
- 내란 프레임 포기 못하는 민주당 '더 센 특검법' 강행하는 이유
- 태블릿 농단 장시호, 자택 12층서 투신 왜?···조은석 특검의 나비효과
- "추경호 수호" 한목소리 낸 野 결집···'내란 음모론' 정면 돌파
- 첫 주부터 反美 선동···장동혁 지도부 내 한미동맹 자해 노선
- 기어이 MAGA 상륙시킨 韓 언론···'깅그리치' 극우 낙인 후폭풍
- 내란 두 글자 트럼프 역린인데···'숙청' 발언 경로 찾는다고?
- 조희대 마녀사냥 꺾였지만···與 내란전담재판부 입법은 탄력
- 트럼프가 목 메는 정렬의 힘···머스크 xAI도 틱톡에 진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