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제 논란 딛고 제도 개선이 목적
"극우 낙인파 떠나라"···진영 정비 본격화
"尹과 소통 계속, 비상계엄 내란 아니다"

장동혁 의원이 김문수 전 노동부 장관을 꺾고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에 선출됐다. 이번 당선은 당내 권력 지형은 물론 향후 총선 전략에도 중대한 변화를 불러올 전망이다. 그는 선거 과정에서부터 강경 메시지를 내며 차별화를 꾀했다.
장 대표는 부정선거론자들이 꾸준히 제기해 온 사전투표 문제를 “끝장토론”으로 다루겠다고 공언했다. “사전투표를 없애고 본투표 기간을 늘리며 현장에서 직접 수개표하는 방식까지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제도 자체를 음모론 차원에서 치부하지 말고 제도적 신뢰성 문제로 논의하자는 입장에 가깝다.
지난 4·10 총선 패배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사전투표 문제를 둘러싼 내부 분열이 국민의힘의 결정적 패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 일각에서 사전투표 제도 자체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면서 지지층의 사전투표 기피 현상을 키웠다는 것이 음모론이 비판받는 이유다.
특히 한동훈 당시 비대위원장이 여의도연구원장으로 발탁한 홍영림 전 조선일보 기자가 사전투표 폐지론에 동조한 전력이 논란이 됐다. 그는 사회정의를 바라는 전국교수모임이 주도한 주장을 인용하며 “유권자의 30% 이상이 사전투표를 믿지 않는다”는 식의 발언을 이어가 지지층의 불신을 공고히 했다.
재미있는 것은 조갑제, 정규재 등 한동훈·이준석계 인사들이 이번 전당대회에서 ‘부정선거 음모론’으로 몰아붙이며 장동혁 대표를 극우 프레임에 가뒀다는 점이다. 그러나 장 대표가 주장한 것은 홍영림 전 여의도연구원장 수준의 제도 개선 차원의 ‘사전투표 토론’이었음에도 이를 확대 해석해 스스로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물론 총선 직전에는 사전투표 제도를 둘러싼 공방이 선거 판세에 불리하게 작용한 것은 맞지만, 진영 정비 차원에서는 사전투표 제도를 전면적으로 논하자는 장동혁 대표의 주장이 현실적 해법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온다. 즉 장 대표가 주장하는 건 “전한길 강사 등을 초청한 토론을 통해 내부 논란을 바로잡자”는 것임에도 음모론자 낙인 공격이 이어진 셈이다.
장 대표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사태에 대해서도 극우 몰이 세력과 명확히 선을 그었다. 장 대표는 “계엄이 잘못됐다고 반드시 탄핵해야 한다는 주장은 동의하지 않는다”며 “통치행위로서의 계엄이 균형에 맞지 않았을 수 있지만, 그것이 곧 내란은 아니다”라고 했다. 당선 직후 수감 중인 윤 전 대통령 면회를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와 함께 장 신임 대표는 극우와 음모론자로 낙인찍어 온 자칭 보수 그룹의 퇴장을 요구하는 발언도 남겼다. 지난달 31일 고성국TV에 출연해 “저를 극우라 부르는 분들은 당에 남을 이유가 없다”고 못 박은 것이다. 보수진영 최고위 관계자는 “장 대표 체제에서 피갈이 수준의 보수의 진영 정비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 위기를 틈타 이준석·한동훈을 활용해 둥지를 틀려던 이들이 도발한 내전을 종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
관련기사
- "부정선거와 싸워 이겼다"···김민아 대표가 본 트럼프의 승부수
- 윤 대통령 헌재 직접 출석 후 온라인 부정 단어량 감소···부정선거 이슈화 효과
- [분석] 국민의힘 지역구 90석, 또 참패···지난 2년 무슨 일 있었나?
- [분석] 4·10 총선 최종투표율···지난 대선 vs 총선 중간값 71.6%?
- 사전투표율 '31.3%' 적중한 민주당···조작설에 결국 고개 숙여
- 국민의힘 내부 고민···종로에 또 '깜짝 공천'하면 주민들 또 '흔들'
- 4·10 총선도 사전투표서 승패···음모론 늪 빠진 한동훈 비대위
- 트럼프 부정선거론 아전인수 강훈식 vs "韓 선관위 수사하자"는 김민수
- 내란 두 글자 트럼프 역린인데···'숙청' 발언 경로 찾는다고?
- "추경호 수호" 한목소리 낸 野 결집···'내란 음모론' 정면 돌파
- 내란 프레임 포기 못하는 민주당 '더 센 특검법' 강행하는 이유
- 이재명계 vs 김어준 전면전 격화···조은석 특검의 흔들리는 핸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