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원전 불가피" 발언에 집단 규탄
"김 후보자 발언 철회돼야" 강한 반발
"원전 정책, 기후위기 대응에 부적절"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신규 원전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발언하자 환경단체와 원전 인근 지역주민, 에너지 종사자들이 일제히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탈원전 비판'을 의식해 '원전 확대 정책'을 옹호한 건 그의 평소 철학을 뒤집은 것이자 환경부 장관으로서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
원전 지역주민과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탈핵시민행동과 종교환경회의는 지난 1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생에너지 전환에 역행하는 '원전 부흥 인사'를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해서는 안 된다"며 장관 후보자 교체를 주장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의 '원전 최강국 건설' 시도로 퇴행한 기후와 환경을 회복할 책무가 있는 이재명 정부의 환경장관 후보자가 신규 원전 건설과 노후 원전 수명연장을 용인하는 발언을 했다"며 "핵발전소의 안전과 방사능 누출 및 핵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감시하고 규제해야 할 환경부 수장으로서도 대단히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환경운동연합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원전 확대라는 시대착오적 입장을 고수하는 것은 이재명 정부의 환경부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한다"며 "김 후보자의 발언은 철회돼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부지 선정조차 이뤄지지 않은 신규 원전에 대해 김 후보자가 '불가피하다'고 단정한 건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 환경영향평가 등 필수 정책 절차를 무시한 선제적 정당화일 뿐"이라며 "환경장관이라면 신규 원전 건설의 당위성보다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 방안이나 원전 인근 방사성 오염 관리 체계 등 환경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책부터 제시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인 에너지정의행동도 이날 성명을 내 "그동안 윤석열 정부의 에너지정책을 비판한 김 후보자가 탈원전 입장을 번복한 것에 대한 실망감이 크다"며 "생태위기 원인이자 경제성장으로 인한 착취의 역사, 지역불평등 증거인 원전 정책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에너지 정책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 여야 'SMR 실증·상용화·수출 지원' 초당적 특별법 발의
- 김성환 후보자 “재생에너지와 원전 적절히 믹스할 것···모호하지 않게 추진”
- '에너지' 기후·환경·산업 중 어디에 붙나···격변의 조직개편
- 李공약 ‘기후에너지부’ 원점 검토···금주 대통령실에 복수안 보고
- ‘원전통’ 김정관 등판에···복잡해진 에너지 정책 셈법
- 최태원 "제조 AI, 中 넘으려면 日과 손잡아야"···AI 경쟁 해법 제시
- [깐팩] 교수가 논문 1저자, 관행?···이진숙 후보자 연구 윤리 논란 따져보니
- 김성환 환경장관 "재생에너지 중심 탈탄소 전환 매우 절박한 시점"
- AI 전력확보 분초 다투는데···‘SMR 부지 선정’ 왜 자꾸 늦어지나
- “대통령실 이전, 또 속은 거야?”···세종 아파트, 대선 후 가격 내리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