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영의 부국강병]
빙하가 녹으면서 북극해는
항로, 부존자원, 수산자원 등
매우 가치 있는 해역으로 부상
우리나라도 관심 가져야
얼마 전 트럼프 당선자가 뜬금없이 덴마크에 그린란드를 팔라고 했다. 얼마 후 부통령 당선자인 밴스는 좀 더 구체적으로 그 배경을 설명했다. “미국은 그 지역 안보 상황을 우려한다. 엄청난 천연자원 개발에도 우리가 리더십을 보여줄 때”라고 밝힌 뒤 “트럼프는 거래에 능하다. 그린란드에서 이뤄질 거래가 있다”고 했다. 그냥 한번 툭 던진 말이 아니라는 얘기다.
그린란드는 한반도의 약 10배 크기로, 군사적 안보와 천연자원 측면에서 전략적인 가치가 점점 더 커지는 땅이다. 주민은 주로 에스키모 계열 이누이트인 5만6000여명이 살고 있다. 덴마크 자치령이라고 하나 캐나다와 미국이 덴마크보다 훨씬 더 가까운 거리에 있다.
지금 북극의 빙하가 서서히 녹아내리면서 북극해 연안 국가들 간의 소위 ‘빙하 냉전(ice-cold war)’이라 불리는 갈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천연자원과 항로개설 등을 통해 북극해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자, 영유권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분쟁이 점차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북극해 일원에 자국 영토가 없는 인접국들까지 경쟁에 가세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북극해(北極海, Arctic Ocean)는 우리에게 익숙한 곳은 아니다. 북극해는 북극점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로 둘러싸인 거대한 바다이다. 지리적 좌표로는 그린란드 인근 북위 67˚ 이상, 베링해 인근 북위 60˚ 이상에 있는 북극권의 바다이다.
즉 북극해는 ‘북극권(Arctic Circle)’의 바다 지역으로 대개 유라시아 대륙, 북미 대륙, 그린란드 등으로 둘러싸인 해역이다. 북극해는 오대양의 하나로, 지중해 크기의 4배에 달한다. 넓은 지역이 만년 해빙(海氷)으로 덮여 있으며, 매서운 추위로 인간의 발걸음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 곳이다.
북극해 주변에는 사람이 살지 않고 누구에게도 소유권이 없는 ‘미지(未知)의 지역’ 같지만, 약 4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북극권에 살고 있다. 근래 북극해 지역에 상당량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에너지 안보 및 해로 확보 차원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북극해 연근해 대부분은 지금 미국(알래스카), 러시아, 캐나다, 노르웨이, 그린란드와 덴마크 등 주요 5개 북극 연안국가가 정한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속해 있다.

왜 많은 국가가 북극해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을까. 그것은 북극해 선점에 따른 이익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항로 이용뿐만 아니라 천연자원과 수산자원 확보 등으로 그 효과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크다.
특히, 북극해 항로를 이용할 경우에 해상 관문인 우리나라 부산항과 유럽의 해상 관문인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 사이의 거리는 기존 약 2만2000km에서 약 1만5000km로 30% 이상이 줄어들며, 일수는 10일 정도 단축된다.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북극해 항로의 상용화 기대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화물량을 기록하는 중국, 일본, 우리나라, 대만 등의 동아시아 국가들은 유럽 지역으로 화물선을 보낼 때 지금처럼 싱가포르항이나 홍콩항을 경유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아시아 최고의 두 항만은 장기적으로 쇠퇴할 가능성이 있다.
북극해와 그 연안 지역은 석유와 가스, 광물 등 많은 양의 천연자원이 매장된 지구상 마지막 남은 천연자원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북극해는 전 세계 석유·가스 자원의 약 25%가 매장되어 있으며, 그 경제적 가치는 대략 15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극해 연안 지역에는 고부가가치의 광물자원들도 풍부한데, 무려 2조 달러 상당의 철광석, 구리, 니켈, 금, 다이아몬드, 은, 아연, 납, 우라늄, 희토류 등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북극해 주요 어장은 지구 온난화로 한류성 어종의 북상으로 10여 년 후에는 세계 수산물 생산량의 37%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북극해는 명태, 대구, 대게, 연어, 북방새우, 왕게, 가자미, 넙치와 같이 새로운 고급 어종의 서식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중요성 때문에 1996년 북극이사회(Arctic Council)는 북극권의 환경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 등을 논의할 정부 간 협의체를 설립하였다. 회원국은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웨덴, 미국 등 북극해 관련 8개국이다. 이 중에서 연안국은 미국, 캐나다, 러시아, 노르웨이, 덴마크(그린란드)이며, 비연안국으로 스웨덴, 핀란드, 아이슬란드가 있다.
또 북방포럼(Northern Forum)도 있다. ‘북극의 다보스 포럼’으로 북극권의 발전과 원주민들 간의 유대 및 연대감 강화에 기본적인 활동 목적을 두고 있다. 북극권은 남극지역과 달리 인간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그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과 사회·경제적 이슈를 관심국 간에 논의하려는 것이다. 가입 주체는 북극권에 있거나 근접해 있는 지방정부들이고, 국가 범주로서는 러시아, 캐나다, 일본, 미국, 우리나라, 중국, 핀란드, 아이슬란드 등 8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은 일대일로를 북극에도 적용하고 있다. 그 명칭은 극지 실크로드(Polar Silk Road)이다. 중국도 이 지역에서 경제 군사적 이익을 위해 한 다리를 걸치고 있는 셈이다.
그린란드에 있는 미국의 공군 기지는 워싱턴 DC와 모스크바의 거의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매우 전략적이다. 툴레(Thule) 공군기지는 러시아, 북한 또는 중국에서 오는 모든 미사일을 감지할 수 있다. 북극권 지역의 미-러 역학은 냉전을 연상시킬 정도로 민감하다.
이와 같이 북극해의 해빙에 따라, 미·중·러 강국들은 그 지역의 군사, 천연자원, 수산물, 해로 확보 차원에서 끊임없이 보이지 않는 경쟁을 하고 이권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한다.
한국은 천연자원도 없고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다. 그러므로 항상 세계정세에 민감해야 하고 세계지도를 끼고 살아야 할 나라이다. 북극해의 해빙에 따른 해로 확보와 그곳의 자원개발을 위해 그곳 인접국과의 협력과 유대 강화를 긴밀히 할 필요가 있다.
트럼프의 발언은 괜히 던져본 말이 아니다. 그린란드는 매우 전략적인 가치가 있는 땅이다. 북극해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에도 매우 중요하다. 정부와 국민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미리 대비하고 북극해 연안국과 협력을 아끼지 말아야 하겠다.
관련기사
- [강정영 더봄] 폭군 내쫓는 정변이 또 다른 위험 불러올 수 있다
- [강정영 더봄] 2025 새해 재테크, '우직한 농부'처럼 해보자
- [강정영 더봄] 전쟁 위험 피하려면, 중립국 스위스에 배워라
- [강정영 더봄] 한국을 좋아하고 입맛도 우리와 비슷한 헝가리
- [강정영 더봄] 러우 전쟁 이후의 한반도, 북방 관리가 최우선이다
- [강정영 더봄] 초고수 투자자는 이런 사람들이다
- [강정영 더봄] 제국의 말기 증상 보이는 강국들, 이제 한국도 '제3의 길' 찾아야
- [강정영 더봄] 아시아 최고 부자 리카싱의 젊은 시절···‘운명은 자신이 만들어 가는 것’
- [강정영 더봄] 용맹스런 코사크의 후예,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다르다
- [강정영 더봄] 한국의 상위 1%에 없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