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련된 디자인, 부드러운 주행감으로 눈길
젊은 감각에 세련미 '오케이' 직관성은 '글쎄'
두둑한 퇴직금도 챙겼다. 이름만 대면 알 만한 대기업에서 임원까지 올라가며 참 열심히 살았다. 동해 번쩍 서해 번쩍 집에 가만히 있지 못하는 성격을 억누르며 사느라 힘들었다. 나이 62세에 드디어 자유를 얻었다. 매주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기로 결심했다.
나이는 어쩔 수 없지만 내 안에 불타오르는 열정은 그 누구도 막을 수 없었다. 골프는 지겹다. 서핑, 자전거, 스키, 캠핑 모두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그런데 법인 차를 반납하고 나니 차가 없다. 아내가 타던 오래된 세단은 반평생 고생한 내 몸을 맡기기엔 부족했다. 액티브한 내 생활에 어울릴 SUV를 사기로 결심했다.
예산은 1억 남짓. 자주 차를 바꿀 시간도 없고 애프터서비스나 잘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오래 무탈하게 탈 수 있는 차를 원했지만 너무 딱딱한 차는 싫었다. 그러던 중 제네시스에서 쿠페 SUV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김영훈 씨(가명·62세)는 '나이 들어도 젊게 살고 싶다'는 마음으로 항상 새로운 도전을 찾았다. 최근에는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차를 찾기 시작했다. 평생 일궈온 업적을 기념하며 이제는 자신만의 시간을 더 소중하게 여기고자 했다. 김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차량을 원했고 그 답은 바로 제네시스 GV80 쿠페 3.5였다.
GV80 쿠페를 처음 마주했을 때 김씨는 이 차가 단순한 SUV가 아님을 단번에 깨달았다. 전통적인 SUV의 강인함과 쿠페의 날렵함을 동시에 담아냈다. 날카롭게 떨어지는 루프라인은 단단하고 안정적인 인상을 주면서도 그 속에 숨겨진 다이내믹한 성격을 느끼게 했다. 차체의 선명한 곡선과 대담한 그릴 디자인은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22인치 다이아몬드 컷팅 휠이 만들어내는 강렬한 존재감은 덤.

GV80 쿠페의 운전석에 앉았을 때 무언가 허리를 감싸는 느낌이 들었다. 드라이브 모드에 따라 허리를 잡아주고 장시간 운전 시 자세를 교정해 주는 기능이 숨어있었다. 시니어가 되면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허리와 무릎의 통증은 장시간 운전에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GV80 쿠페의 인체공학적 시트와 자세 교정 기능 덕분에 운전 피로를 느끼기 어려웠다. 12인치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14.5인치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모든 중요한 정보를 한눈에 제공하여 운전 중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여주었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했다. 100% 완벽한 차는 없기 마련이다. 디스플레이 계기판에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174cm 남짓한 키에 맞춰 핸들 위치를 아래로 내리니 11시와 15시 방향으로 운전대를 잡았을 때 계기판 왼쪽 부분이 가려졌다.
국내 도로 특성상 과속카메라가 많아 속도계를 확인하기 어려우면 시력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시니어 입장에선 꽤 당혹스러울 뿐 아니라 안전운전을 할 수 없게 된다. 속도계와 엔진회전수(RPM) 계기판을 좀 더 중앙으로 이동한다면 가독성이 더 좋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속도계 오른쪽 위에 위치한 기어 단수 안내 화면도 왼쪽 손등에 가려져 '수동 모드'로 전환 시 단수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었다.

GV80 쿠페의 국내 판매 트림은 가솔린 2.5 터보, 3.5 터보, 3.5 터보 48V 일렉트릭 슈퍼차저 등 3종으로 구성된다. 시승 모델인 3.5 터보 모델은 이보다 한 단계 낮은 사양으로 최고 출력 380마력, 최대 토크 54.0kg.m의 성능을 발휘했다.
성능 대비 놀라운 점은 차량이 제공하는 부드러운 주행감이었다. 6기통 3400cc 가솔린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제공하는 힘은 국내에서 부족함이 없었다. 제네시스의 로드 프리뷰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도로 상태를 미리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요철이나 과속 방지턱에서도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했다.

GV80 쿠페가 제공하는 첨단 기능은 액티브 시니어층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차량은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고 차선을 유지하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사고를 방지했다. 리모트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은 주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를 줄여주었다. 좁은 주차 공간에서도 이 시스템은 차량을 정확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넓은 후방 카메라와 주차 센서가 추가적인 안전장치를 제공했다.

GV80 쿠페는 단순한 차량 이상의 가치를 제공했다. 젊음을 되찾고자 하는 시니어 운전자에게 완벽한 선택이 아닐까. 이 차량과 함께라면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몸소 실감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끝내긴 아쉽다. 성능보다는 디자인과 느낌에 울고 웃는 2030 MZ세대에게 제네시스 GV80 쿠페는 어떻게 비칠까. '아빠 차' 이미지일까,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 3사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평가될까. 운전면허조차 없는 00년생 기자도 직접 이 차를 살펴봤다.

사회 초년생 여성이 GV80 쿠페를 보고 가장 처음 느낀 감상은 '세련되다'였다. 최신식 기술과 기능을 갖춘 이 쿠페는 날렵한 디자인과 부드러운 승차감으로 초년생이 선망할 만한 차였다. 국산 차 특성상 우리나라 도로 주행에도 적합했고 360도 카메라 등 각종 편의 기능은 운전에 서툰 초년생에게 유용해 보였다. 실제로 홍대 거리를 주행했을 때도 부드러운 움직임과 멋진 디자인에 크게 만족했다.
하지만 '부담'이라는 생각도 함께 들었다. 사회 초년생이 1억원 가까운 가격의 자동차를 사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차를 너무 좋아하는 나머지 차에 올인하는 '카푸어'조차 '좋은 차이지만 이 정도 가격이면 수입차를 선택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것 같다.

브랜드 이미지에 '올인'한 탓에 직관성을 놓친 부분도 단점으로 느껴졌다. 앞서 언급했듯 운전석에 앉았을 때 속도 계기판이 핸들에 가려진다는 점은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위치를 조절하면 볼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60에서 120구간이 가려져 볼 수 없는 것은 아쉬움이 남았다. 보통 운전자들이 60~100km/h로 속도를 낸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더욱 그렇다.
최신식 터치 디스플레이와 센터패시아는 세련됐지만 실용성 면에서는 의문이 남는다. 동그란 회전식 기어는 운전하면서 변속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느끼기 어려웠다.

직접 운전을 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석에 한 번 앉았을 때 161cm인 여성에게는 다소 핸들이 크고 높은 감이 있었다. 다만 좌석이나 핸들의 높이 등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어 단점이 상쇄됐다.
디스플레이에 있는 아이콘도 무엇을 의미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없는 부분도 문제점으로 보였다. 키오스크 사용을 어려워하는 노인이 많아 사회적 문제가 된 상황에서 디지털에 치중한 구성과 직관성이 떨어지는 그림에는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다만 디지털로 이루어진 최첨단 구성은 MZ 세대에게는 매우 익숙하고 기존의 기기보다 더 편할 수도 있다. 일장일단이 있는 셈이다. 직관성만 조금 더 높여주면 남녀노소 모두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관련기사
- [시승기] 소나타 디엣지 2.0 가솔린, '검소한 시니어 운전자를 위한 최적의 데일리 세단'
- [인터뷰] 자동차 유튜버 모트라인 윤성로 "대부분 급발진 사고 운전자 실수"
- [김필수 칼럼] 전기차 포비아 '소유주는 무슨 죄냐'···출구전략 세워야 할 때
- [김필수 칼럼] 사거리 우회전 사고···"안전 위한 새로운 해법 필요할 때"
- [시승기] 묵직한 그랜저TG에서 세련된 그랜저로
- [시승기] SUV의 새 기준 싼타페 하이브리드···'공간으로 판을 뒤집다'
- [시승기] 포르쉐 타이칸 크로스 투리스모 타고 일본 달리기
- [현장] 일본에서 만난 BYD···‘수입차 무덤’에 깃발 꽂다
- [시승기] "트럭이 이렇게 섹시할 줄이야"···도로를 씹어먹는 콜로라도
- [시승기] 미국식 큰 손 감성 폭발 시에라 드날리, 한국에서 통할까
- [시승기] 아파트 한 채가 굴러가네···'덩치' SUV 쉐보레 트래버스
- [현장] 서울모빌리티쇼, '차를 넘어 삶으로'
- [김필수 칼럼] 제네시스의 다음 목적지는?
- [리뷰] 갤럭시 Z 폴드7 한 달, 시니어에게 더 편했다
- [시승기] 벤츠 2.0터보 M274 vs M254···당신의 선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