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옥의 살다보면2]
사람 말을 알아듣는 태리가 다녀간 뒤
쫑이도 홈스쿨링 통해 똑똑한 개로 변신
냥이를 싫어하는 이모할머니가 온 그날···

(전편에서 이어짐)

봄이 왔어요. 어느 날 산 너머 사는 쌍둥이 녀석이 할머니 자전거에 실려 놀러 왔어요. 이름이 ‘태리’래요. 태리는 개린이 유치원에 다니며 목욕도 자주 해서 윤이 짜르르 흘렀어요. 매주 옷도 바꿔 입고 머리에 핀도 꽂고 밖에 나갈 땐 할머니 자전거 광주리에 얌전히 타고 동네 구경도 다닌대요.

내 이름은 치즈에요.

어디에서 사느냐가 환경을 좌우하지요. /게티이미지뱅크
어디에서 사느냐가 환경을 좌우하지요. /게티이미지뱅크

할머니 딸이 지어준 건데 올 때마다 아주 사랑스런 눈길로 ‘치즈~’하고 부르며 맛있는 츄르도 챙겨와 먹여준답니다. 그녀가 오면 엄마가 온 거 마냥 행복해요.

우리 집 녀석은 쫑이라 불러요. 태리, 치즈랑 비교하면 촌스럽긴 하지만 동네 할머니 말씀이 귀한 자식일수록 개똥아 하고 부른댔어요. 녀석도 할머니의 사랑을 듬뿍 받으니 귀한 이름이 맞는 거 같아요. 쫑이는 비 오는 날 저절로 샤워하는 거 외엔 정식으로 목욕 한번 한 적 없어서 털북숭이 꼴이랍니다.

태리가 나타나자 쫑이는 새 친구를 만난 듯 신이 났어요. 녀석은 온 마당을 휘젓고 다니며 힘자랑을 했어요. 나도 같이 뛰며 산 너머 형제에게 같이 놀자고 했지요.

그런데 멋지게 차려입은 그 녀석을 마당에 내려놓자 뭐가 두려운지 몇 발짝 걷지도 않고 꽁지를 내리며 할머니 품으로 파고들었어요. 발에 흙 묻히는 게 싫은가 봐요. 아, 교육의 효과인가요? 그래도 어릴 땐 지칠 때까지 뛰어노는 게 신나는 건데···.

태리가 다녀가고 우리 할머니가 변했어요. 사람 말을 알아듣는 태리가 보기 좋았나 봐요. 할머니가 도서관에서 빌려온 책으로 쫑이도 홈스쿨링을 하게 되었답니다.

강아지는 마당에서 흙을 밟으며 뛰어노는 게 행복할 텐데 말입니다. /게티이미지벵크
강아지는 마당에서 흙을 밟으며 뛰어노는 게 행복할 텐데 말입니다. /게티이미지벵크

태리같이 정규과정 대신 쫑이는 실용 언어를 배웠지요.

"잡아!"

"그만!"

"장갑 가져와!"

"가위 가져와!"

쫑이는 정말 똑똑했어요. 한 개를 가르치면 두 개를 척척, 습득을 너무 잘해서 할머니의 자랑거리가 되었답니다. 쫑이는 누가 와서 밭 가에 서 있으면 장갑을 물어서 갖다줘요. 방문하신 분들이 일부러 밭 가에 서성이며 배꼽을 잡고 웃는 모습을 보면 똑똑한 쫑이가 자랑스러워요.

때론 도망가는 쥐를 가리키며 "잡아!"라고 명령하면 우리는 합동작전으로 쥐나 두더지 몰이를 성공시켜요. 나는 맛있는 간식으로 보상받을 때도 좋지만 콕 집어서 내 이름을 부르며 칭찬해 줄 땐 나를 더 사랑하는 할머니의 마음을 느껴요.

저도 교육을 받았냐고요? 음··· 우리는 능동적인 행동으로 해야 할 일에 솔선수범할 뿐 누가 시키는 일은 안 해요.

‘우리는 사람에게 복종 안 한다.‘

언젠가 어느 높은 분이 그러더니만 그 말은 대대로 내려오는 우리 조상들의 신념이랍니다. 

사람들은 교육열도 대단하지만 심리상태도 예측 불가예요. 당신 똥도 누러 가기 힘들다며 만사 귀찮다던 산 너머 할머니는 태리 덕분에 종일 시간 가는 줄 모른대요. 우리 할머니도 그래요. 가끔은 태리처럼 노란 고무줄로 쫑이 머리를 칭칭 묶어주며 안아줄 땐 샘이 나요.

우리는 그럭저럭 할머니의 소망처럼 무위자연을 꿈꾸며 행복한 나날을 보냈답니다.

나무타기 장끼를 보여주며 관심을 끄는 고양이 /사진=송미옥
나무타기 장끼를 보여주며 관심을 끄는 고양이 /사진=송미옥

사고가 난 그날은 이모할머니가 와 계셨어요. 이모할머니는 개를 키워서 그런지 나를 안 좋아해요. 그냥 무섭고 싫대요. 억울하지만 저마다의 성향이니 내가 이해해야지요. 가끔 오래 키운 고양이가 귀신이 된 이야기, 주인에게 버림받은 고양이가 인간으로 변신해 복수하는 이야기를 진짜처럼 하며 내게 눈총 주는 걸 몇 번이나 느꼈어요.

실은 나도 자존심이 있어서 이모할머니 곁을 절대 가지 않아요. 이모할머니가 온 날은 쫑이 기분도 하늘 높이 솟아 은근히 자랑하듯 나에게 깝죽거렸어요. 그날도 미워서 냥 펀치를 날리며 한 판 붙으려다가 참고 할머니께 일렀어요. 내 목소리를 들으면 할머니가 문을 열고 나와 ‘쫑이 그만~’하고 혼내거든요.

“할머니이···. 쫑이가 자꾸 괴롭혀요.”

(다음 회로 이어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