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대권 분리 규정에 黃 신중론
안철수 "韓, 당분간 물러나 성찰을"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4월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4월 1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헌을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판론이 고개를 들자 다른 당권 주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헌에는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상임고문을 제외한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 선거일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해당 규정을 적용하면 오는 7~8월 선출될 새 당 대표는 차기 대선(2027년 3월 3일) 출마를 결심할 경우 임기 2년을 다 채우지 못한 채 2026년 9월에 사퇴해야 한다. 이에 당 일각에서는 대권주자의 당권 도전을 위해 해당 규정을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대표직 수행 기간을 늘리는 것이 정치적 입지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러한 요구를 일축했다. 그는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당 대표는 자기가 하는 대선을 주도하지 않아야 공평한 것 아니냐는 것이 당헌의 취지”라며 “20년 된 전통이다. 신중히 생각해야 된다”고 했다.

이어 “(당권·대권 분리는) 헌법적, 우리 당헌·당규의 여러 논란을 거쳐 확립된 것”이라며 “(대표가 대권 도전을) 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1년 6개월이 되면 분리하자는 것이 당헌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앞서 황 위원장은 전당대회를 애초 전망됐던 6월 말∼7월 초에서 한 달가량 늦춰야 한다는 입장이었는데 윤재옥 원내대표가 ‘다른 논란이 생길 수 있다’며 공개적으로 제동을 걸었다. 윤 원내대표는 한동훈 등판론에 불편한 속내를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유력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안철수 의원은 이날 채널A ‘정치시그널’ 인터뷰에서 한 전 위원장에 대해 “당분간 물러나 계시는 게 맞다”면서 “선거에서 패배하면 일단 2선으로 물러나고 자숙과 성찰의 시간을 가지는 것이 맞는 문법”이라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의 정치 복귀 시점에 대해 “2년 후 (지방선거에 나온다면) 그다음 대선을 치르겠다는 건지, 대선을 건너뛰고 광역단체장으로서 일하는 성과를 보이고 난 다음에 도전할 것인지 여러 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경원 당선인은 7일 연합뉴스TV에 출연해 “공직 후보자 선출과 당 대표는 역할이 다르다”며 “공직 후보자는 밖에 가서 표를 벌어와야 하니 민심을 좀 더 많이 반영할 수 있지만, 당 대표는 결국 당원을 대표하는 자리”라고 현행 ‘100% 당원투표’ 방식에 힘을 실었다. 

한 전 위원장의 경우 '민심' 반영 비율을 높여 시간을 두고 전당대회를 치르는 게 유리할 전망이다. 황태순 정치평론가는 여성경제신문과 통화에서 "한동훈 전 위원장은 시간이 많다"며 "빨리 나왔다가는 이철규로 대변되고 있는 친윤들에 의해서 총선 패배 책임론 때문에 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당내에 있는 '한동훈 비토론'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한 전 위원장에게 사퇴를 요구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의에 "점심 자리에서 그런 얘기가 나온 것 같은데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며 "한동훈 위원장의 문제는 바로 풀었다. (한 전 위원장이) 앞으로 정치인으로서의 길을 잘 걸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