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표+수석최고' 절충형
몇 달 만에 그만둘 불안감
민심 반영 투표는 원점으로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5월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4.19혁명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기념 인증서 전달식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5월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4.19혁명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기념 인증서 전달식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7·25 전당대회를 열기로 잠정 결정한 가운데 당대표 경선 방식 등을 바꾸는 당헌·당규 개정 논의가 한창이다. 당대표 선거 차점자를 수석최고위원으로 삼아 사실상 부대표 역할을 맡기는 '2인 지도체제' 방안이 변수로 떠오른 모습이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은 5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원외 당협위원장들과 만나 단일지도체제와 집단지도체제의 절충형 방식인 2인 지도체제를 제안했다. 

인천 지역의 한 당협위원장은 이날 여성경제신문과 만나 “(황 위원장은) 쉬운 말로 ‘부통령을 뽑자’라는 것”이라며 “당대표 선거에서 2위를 차지한 사람을 수석 최고위원으로 임명하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이어 “황 위원장 본인께서 최근 2년 동안 여섯 번째 비대위원장이라는 폐단을 막기 위해, 극단적으로 (당대표를) 뽑아서 몇 달 만에 그만두면 어떡하느냐며 그럴 때 부통령처럼 (당대표직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는데 그것이 전당대회 2등이었으면 좋겠다(고 하셨다)”고 말했다.

당헌당규 상 국민의힘은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선거, 최고위원 선거를 각각 거쳐 당대표 1명, 최고위원 4명, 청년최고위원 1명을 선출한다. 당대표 선거에서 탈락하면 아무런 당직도 맡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절충안을 내놓은 것으로 해석된다.

집단지도체제는 인지도 높은 다양한 후보들의 출마를 통한 '컨벤션 효과'를 기대하는 당내 일각에서 선호하는 방식으로 알려졌다. 지도부 무게감이 커지는 대신 당 대표 권한이 분산된다. 

반면 현행 단일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분리해 치러 당 대표에게 권한이 집중된다. 출마가 유력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선호한다고 알려졌는데 당에서 지도체제 변경 논의가 계속되는 것은 견제 심리가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앞서 한 전 위원장은 지구당 부활론을 펴면서 원외 당협위원장들로부터 지지를 받은 바 있다. 언론에 직접적으로 나서진 않지만 지인을 통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 전 위원장 출마에 대해 찬반론이 나뉜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5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한 전 위원장의 당 대표 출마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42.3% '반대한다'는 응답은 49.1%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에선 당초 현행 당원 투표 100%인 당 대표 선출 방식을 개정해 당원 투표 70%·일반국민 여론조사 30%를 반영하는 데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날 민심 반영 비율이 크다는 반론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진다.

한편 당권 주자로 꼽히는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4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워낙 야당이 거칠게 나오기 때문에 지금 당이 굉장히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될 때인데 (절충형 지도체제가 적용된다면) 오히려 봉숭아 학당이 돼서 이도 저도 못하는 당이 될까 하는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라고 우려했다.

윤상현 의원은 강한 대야 투쟁력을 예고했다. 윤 의원은 '김정숙 종합 특검법(김정숙 여사 호화 외유성 순방, 특수활동비 유용 및 직권남용 의혹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의원은 인공지능(AI) 산업 육성법을 대표 발의하면서 정책 역량에 집중했다. 안 의원은 해당 법안에 고위험 영역 AI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부 역할 등을 규정했다. 또 안전한 AI 기술 이용을 위한 신뢰 기반 조성 시책 등을 정부가 준비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