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관계 조율 실패 따른 참패 후유증
황우여 안정적 전당대회 관리에 초첨
원내대표 이철규 카드···尹측 전열정비

4·10 총선에서 낙선한 국민의힘 손범규 등 후보들이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간담회를 마치고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에서 낙선한 국민의힘 손범규 등 후보들이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간담회를 마치고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60여명에 이르는 4·10 총선 낙선자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윤석열 정부 책임론과 수도권 위기론을 앞세운 이들이 당권 쟁취와 원내 지도부 진입을 시도하면서 무너져버린 당정 관계 복원의 길은 첩첩산중이다.

29일 국민의힘은 '관리형' 비상대책위원장 자리에 황우여 상임고문을 지명했다. 5선 국회의원 출신의 황 고문은 새누리당 시절 당 대표를 지낸 바 있으며, 박근혜 정부 당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역임했다.

앞서 '한동훈 단일대오 그룹'으로 통칭되는 수도권 낙선자들과 비윤계 조직위원장들이 '혁신형 비대위'를 요구했지만 당을 조기 정비하고 지도부를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는 원내 의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관리형 비대위'가 구축됐다.

'황우여 비대위'의 최우선 과제는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해 오는 6월 열릴 전당대회 준비다. 자체적인 혁신이나 쇄신책 논의보다는 안정적인 전당대회 개최를 위한 준비 작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전당대회 룰은 지난해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도입된 '당원투표 100%' 지도부선출 방식을 그대로 둘 것인지가 핵심 쟁점이다. 황 고문은 이날 TV조선과의 통화에서 "당헌당규 개정이 가장 큰 의제가 될 것 같다"며 "개정에 대해 비대위에서 협의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이준석 신드롬이 일었던 전당대회에서 황 고문은 선거관리위원장이었다. 당시 경선은 기존의 당헌·당규대로 당원 50%, 국민 50% 비율로 치러졌는데 예비경선을 당원 50%, 국민 50% 비율로 조정하는 과정에 황 고문이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준석 전 대표 당선엔 여론조사 비율이 30% 포함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무엇을 혁신해야 하나'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무엇을 혁신해야 하나'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도 배제 때문이란 지적 일리 있지만
윤심=당심 vs 민심 갈라치기는 한계

당심과 민심 갈라치기 전략으로 여론조사에서 58.76% 득표한 이 전 대표는 당원투표에서 40.93%를 얻으면서 3.52%포인트 앞섰던 나경원 전 의원을 상대로 신승을 거뒀다. 이를 염두에 둔 수도권 낙선자들과 원외 조직위원장들은 일반 여론조사 경선 룰 포함과 자신들을 포함하는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2030으로 대표되는 이준석계와 안철수계로 대변되는 중도층이란 두 축을 잘라버렸다"는 윤상현 의원이 이들의 목소리를 대표한다.

반면 6월 전당대회에서 4·10 총선에서 이미 심판을 받은 이들을 대표하는 비윤 지도부가 득세할 경우 당정이 끝내 결별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여당이 108석으로 대통령 재의요구권 효력을 지킬 100석을 간신히 확보한 상태에서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이철규 의원이 원내대표가 되어 당정 관계 복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여권의 시계는 새로운 원내 지도부 선출을 향해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1일 원내대표 후보 등록을 받은 뒤 3일 오후 2시 선출 선거를 진행한다. 이날 당선자 총회에선 조정훈 의원과 김재섭 도봉갑 당선인 등이 비대위원으로 추천됐지만 김 당선인은 직을 고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황 고문은 "내가 비대위원을 데리고 들어가는 모양새는 이상할 거 같다"면서 "당에서 인선을 많이 준비했을 것"이라며 당과 협의해 빠르게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