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합계출산율 0.78명 OECD '꼴찌'
유명무실 정책 제외하고 실효성 위주 개편
유아재택근무 정책 방안 등 도입 도마 위로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3월 예정된 저출산 대책 관련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종합 대책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내달 저출산 종합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아이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역대 최저치인 0.78명으로 떨어지면서, 실효성 위주로 저출산 대책을 재정립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언론과 인터뷰에 "윤석열 대통령이 다음 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출산위)를 직접 주재할 계획"이라며 "저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이자 평균 절반에도 못 미치는 국내 합계출산율을 높여야 하는 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따라서 대통령실은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실효 대책 위주로 정책을 다시 설계할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육아 재택근무 보장제도' 등 방안들이 대통령실 내부에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오는 3월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저출생 종합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위는 통상 장관급인 부위원장이 회의를 주재하는데, 윤 대통령이 직접 챙겨 저출생 문제 해결 의지를 강조한다는 구상이다.
저출산위가 전임 부위원장인 나경원 전 의원의 거취 문제로 논란을 빚었던 만큼,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조직을 재정비하는 의미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각 부처 인구문제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저출산위에 맡길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서울 여성 2명 중 1명은 출산 안 해···합계출산율 0.59 충격
- 하나 낳아 잘 키웠더니···'헬조선'에선 못 낳는다?
- 80년 된 초등학교도 가차 없이 폐교···초·중·고 1만 곳 중 35% 역사 속으로
- '나이 65에 기저귀 차는 게 뭐 어때서?'···성인용 기저귀 공급량 증가세
-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늘봄교실 현장 방문
- 저출산에 작아지는 국군···다문화가정 '괜찮아 우리가 있잖아'
- "저출산 해결책은 돌봄 복지"···吳 시장, 인프라 확대 지시
- 65세부터 '노인' 누가 정했길래···기준 연령 "상향해야"
- 여성 인구 20% '고령층'··· 전체 인구 수 3년 연속 감소세
- 나경원 빈 자리,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이 채운다
- 김영미 저출산위 부위원장 상생형 직장어린이집 방문···현장 중심 소통 행보
- 외국인 가사노동자 최저임금 적용 제외 법안 논란
- 尹 새 단장한 저출산위 직접 주재···돌봄 중심의 재정투입 시사
- "저출산, 여성 지위 높아질 때 해결"···국회 토론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