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재단에 '약자와 동행' 당부
안심소득 시범사업 온영 현황 점검

오세훈 서울시장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돌봄 복지 서비스 인프라 확대에 속도를 붙일 예정이다.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정연정 서울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로부터 서울아이 돌봄 인프라 확대와 운영 활성화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서울시복지재단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을 시작으로 주요 투자·출연기관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오 시장은 "약자와의 동행 시정 목표에 맞춰 기존에 없던 업무를 창의적으로 발굴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시와 여성가족재단은 계속되는 저출생 현상을 해소하고 엄마아빠가 안심하고 양육할 수 있는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아이돌봄 기관 인프라 확대·폭력 예방환경 조성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오 시장은 조만간 매력 분야(서울디자인재단, 서울산업진흥원, 서울문화재단, 서울관광재단)와 안전 분야(서울시설공단, 서울물재생시설공단)의 투자·출연기관도 직접 방문해 신년 업무보고를 받을 계획이다.
또 이날 오 시장은 서울시 마포구 아현동 서울복지재단 본사를 방문해 김상철 서울복지재단 대표이사로부터 안심소득 시범사업 운영 현황에 대해 보고받았다.
안심소득은 기준소득과 가구소득을 비교해 부족한 금액의 절반을 형편이 어려울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하후상박형 소득보장 모델로, 기존의 과세와 복지 체계는 건드리지 않으면서도 '통계적 사실'에 기초해 급여 수준을 강화하는 방안을 2026년까지 시범사업을 통해 도출해낸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현재 서울복지포털과 다산 콜센터를 통해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1100가구를 2월10일까지 모집 중이다. 지난해 기준 중위소득이 50% 이하인 500가구를 모집한 1단계 시범사업에는 지원가구의 약 68배에 달하는 3만3803가구가 신청한 바 있다. 다만 안심소득 모델 취지에 따라 기초생활 생계급여나 청년 월세 등 기존 복지혜택과 중복해서 받을 수는 없다.
관련기사
- 오세훈표 안심소득 2년차···85% 중위소득 이하 1100 가구 모집
-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늘봄교실 현장 방문
- 노용호 의원, 청년과 "여성·사회적 약자 위한 법안 발의"
- 하나 낳아 잘 키웠더니···'헬조선'에선 못 낳는다?
- 저출산고령위 운영위원회 개최···인구정책 추진 방향·부처별 과제 논의
- 尹, 저출산 대책 직접 챙긴다···내달 종합 대책 발표
- 외국인 가사노동자 최저임금 적용 제외 법안 논란
- 오세훈표 '안심소득'의 새로운 발견···5가구 중 1곳 근로소득 증가
- '안심'을 '디딤돌'로 바꿨으나···吳도 인정한 논란 불씨 '기본소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