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당선 예상했었다"는 발언 근거로
김어준 방송서 야당을 음모론 단체 규정
정작 트럼프는 바이든戰 피해자로 인식
같은 날 김민수 제도적 투명성 검증 주장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민수 국민의힘 의원이 부정선거 논란을 두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연합뉴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민수 국민의힘 의원이 부정선거 논란을 두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연합뉴스

정부여당과 야당이 부정선거 논란을 두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극우 음모론’으로 몰아붙였지만 김민수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제도적 점검을 위한 수사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다른 기조를 보였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29일 김어준씨가 운영하는 유튜브 방송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이재명이 당선될 것을 미리 알았다”고 발언했다. 이어 “트럼프조차 부정선거를 믿지 않는다”며 보수 일각의 의혹 제기를 ‘가짜 논리’로 규정했다. 이는 극우 성향 유튜브 채널과 야권 일각을 겨냥한 ‘음모론 차단 메시지’라는 해석이 뒤따랐다.

반면 같은 날 국민의힘 김민수 최고위원은 BBS 라디오 금태섭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부정선거 여부는 수사 없이는 확인할 수 없다”며 "한번 쯤 속시워하게 파헤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의 발언은 특정 결론을 단정하거나 음모론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 신뢰 확보를 위해 점검이 필요하다는 맥락에 방점이 찍혔다.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방문 이후 부정선거 음모론이 재점화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대통령에 패배한 것을 부정선거 결과로 믿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허술한 운영과 사전투표 과정에 대한 불신이 결합해 의혹이 증폭된 것이라 음모론이라 보기 어렵다.

김 최고위원은 "(부정선거가) 있다, 없다를 말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며 “완전한 수사가 전제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선관위 관리 부실, 일부 관리자 개인 일탈, 조직적 지시 여부 등 세 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민주당 정부 시절부터 같은 논란이 이어졌다”며 “이번에는 제도적 한계를 근본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음모론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논란의 반복을 끊기 위해 한 차례 정밀한 제도 검증이 불가피하다는 메시지였다.

여성경제신문 이상헌 기자 liberty@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