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틱 워크플로우' 통한 맞춤 서비스
출시 22개월에 만에 가입자 1000만명

SK텔레콤이 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닷'을 대폭 업그레이드한 4.0 버전을 출시했다. 이번 버전은 AI가 사용자의 숨은 의도까지 파악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SKT는 4일 '에이닷'에 최신 AI 기법인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를 적용한 에이닷 4.0버전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는 AI 에이전트가 단순히 사용자의 요청을 받은 그대로 수행하는 기존 방식을 넘어 사용자와 그간 나눈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작업을 차례대로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법이다. 해당 기술은 AI 에이전트가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이끄는 핵심 구조로 평가받으며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에이닷 4.0은 '에이전틱 워크플로우'의 4가지 핵심 요소인 △계획 수립 △사용 가능한 외부 도구 활용 △다중 에이전트 협업 △결과 점검 및 문제점 개선을 자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SKT는 '에이전틱 워크플로우'를 에이닷 맞춤형으로 구현하면서 사용자의 요청을 분석해 그에 맞는 작업을 계획한 후 가장 적합한 하위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를 도입했다. 이에 에이닷 4.0부터 자동으로 적절한 하위 에이전트를 지정해 복잡한 요구도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는 △사용자 요청을 재해석하는 '입력 재구성' △재해석한 요청을 단계별로 나누고 수행에 적절한 하위 에이전트를 선택하는 '계획 수립' △선택한 하위 에이전트를 호출하는 '작업 관리'의 절차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입력 재구성' 과정에서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와 직전 나눈 대화 내역은 물론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의 최신 요청에 반영, 담긴 의미를 맥락에 맞춰 구체화한다.
에이닷은 '다중 에이전트 협업 기능'을 통해 하위 에이전트 간 협력을 유도, 최적의 결과를 도출한다. '다중 에이전트 협업 기능'하에서는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여러 하위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한다. 기존에 별도로 제공되던 뮤직·증권 에이전트도 하위 에이전트로 편입돼 사용자가 음악 추천·주식 정보 확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대화창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SKT는 에이닷이 다양한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에이전틱 워크플로우' 기반 구조로 전환되면서 에이닷의 확장성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이번 업데이트로 기존 기능 역시 대폭 개선됐다. 일정 관리에서는 여러 일정을 한 번에 추가·수정·삭제할 수 있고 구글 캘린더나 아웃룩과 직접 연동된다. 음성모드는 답변 중에도 추가 질문을 인식해 대화가 끊기지 않도록 개선됐으며 한 번의 발화로 여러 요청을 동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AI와 역할극 형태로 감성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감성 모드'가 새롭게 추가돼 재미 요소가 강화됐다. 대화 모드는 △마음 상담 △달의 조언(꿈 해몽·사주 풀이) △소꿉친구 등 3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정식 출시 22개월을 맞은 에이닷은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MAU(월간 실사용자)는 약 810만으로 SKT는 앱과 웹, 전화, Btv, 채팅+ 등 다양한 고객 접점을 통해 에이닷 가입이 이뤄지고 있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edia.co.kr
관련기사
- SKT, 양자암호 AI폰 ‘갤럭시퀀텀6’ 출시···출고가는 얼마?
- 이재명 정부 韓 소버린 AI 프로젝트 밀어붙이지만···글로벌 AI 공룡 셋방살이 면할까?
- "GPT인 줄 알았지?"···한국형 시뮬라크르 K-AI '가면무도회'
- SKT '13만명 탈출' 잡아라···단통법 시행 막바지 이통3사 쟁탈 전략은
- '죽은 가두리' 포털 시대 끝?···SK 에이닷이 보여준 AI 플랫폼
- 위약금 면제 결정한 SKT, 환급액 조회 서비스 시작
- 한국형 딱지 붙으면 소버린 AI?···KT·SK 기술 독립 '물음표'
- "기술적 프리미엄 강조"···KCC, '클렌체' 신규 광고 론칭
- 中 큐원3 코더, 오픈소스라더니 공개 첫날 알리바바 정렬 이탈
- [기자수첩] 단순한 뭐가 아니라고?···GPT 돌려도 이것만은 좀 고치자
- '유심 해킹' 실적에도 피해···SKT 2분기 영업이익 37% 급감
- '유심 해킹' SKT 1348억 내야 한다···역대 최대 규모 과징금
- 2025 국감 이슈 SKT 해킹, 과기정통부 '편들기' 의혹 털어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