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개혁안에 친윤계 강력 반발
"갈등 정리 못 하면 새출발 어려워"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개혁 과제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개혁 과제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에서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국민의힘이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개혁안을 둘러싸고 격랑에 빠졌다. 개혁 시도는 재도약의 전환점이 될 수 있지만 또 다른 분열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현재 나오는 갈등과 문제들을 회피할 게 아니라 마주 보고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지난 8일 당무감사 실시와 9월 초 전당대회 개최를 골자로 한 개혁안을 발표했다. 개혁안에는 △9월 전당대회 개최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추진 △대선 후보 교체 시도 진상 규명 및 당무감사 실시 △당론 민심 반영 제도화 △내년 지방선거 100% 상향식 공천 실시 등이 포함됐다.

이는 당 체질을 바꾸고 기존 지도부에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특히 후보 교체 파동에 대한 당무감사는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이양수 전 사무총장 등 당시 지도부에 대한 징계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김 위원장이 주장하는 전당대회 개최도 전당대회 없이 혁신 비대위를 구성하자는 친윤계의 구상과 충돌한다.

당내 반응은 엇갈렸다. 국민의힘 전신 새누리당에서 당대표를 지낸 김무성 상임고문은 이날 페이스북에 "당이 환골탈태할 수 있게 '선 당헌·당규 개혁, 후 전당대회 개최'의 길로 가야 한다"라고 김 위원장에게 힘을 실었다. 친한동훈계 역시 개혁안에 호응하고 있다. 반면 권영세 전 위원장은 페이스북에 "단일화 과정의 진상규명을 환영한다"라면서도 "다만 처음부터 '부당' 단일화로 규정한 것은 앞으로 있을 진상규명 절차의 중립성을 의심케 하는 매우 잘못된 표현"이라고 불만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의 임기가 오는 30일 종료된다는 점도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개혁안을 거취 문제 등을 논의할 의원총회를 하루 앞두고 사전 논의 없이 발표했다는 점에서 당내 반발이 거세다. 김 위원장은 "제 임기는 개혁이 완수될 때까지"라며 임기 연장 가능성을 시사한 상태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비상대책위 임기는 전국위 의결로 한 차례 6개월까지 늘릴 수 있다.

이날 열릴 의원총회는 김 위원장 개혁안의 향방과 당의 진로를 가를 분기점으로 꼽힌다. 중립 성향 의원들이 김 위원장에게 신임을 보낼 때 그의 임기는 전당대회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비토가 많을 경우 비대위 존속 여부 자체가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

한편 이번 충돌이 재도약의 기회가 될지 아니면 또 다른 분열이 될지에 대해서도 설왕설래가 오간다. 한 국민의힘 내부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번 갈등이 재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 그렇게 돼야 한다"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뭘 잘못했는지 윤 전 대통령이 잘못하는 과정에서 당이 잘못했었던 건 뭔지를 충분히 반성하고 메시지를 내지 않고서는 중도층에 소구할 수 있겠냐"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설령 분열이라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대립 상황을 마주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국민의힘은 지금 이대로는 안 된다"라며 "갈등을 확실하게 정리하고 정리가 안 되면 갈라서서라도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이 9월 초 전당대회 개최 방침을 밝힌 가운데 남은 기간 국민의힘이 내홍을 어떻게 정리하느냐에 따라 전당대회가 보수 재정비의 출발점이 될지, 또 다른 대립의 계기가 될지 가려질 전망이다.

여성경제신문 김민 기자 kbgi001@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