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재권의 세상을 읽는 안목]
큰 권력 누리는 '기린 관상'
풍수 영향 有···조상 묘 명당
韓·金 단일화만이 보수 희망

한덕수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얼마 전부터 '한덕수 대망론'이 떠오르고 있다. 한덕수의 대권 등판은 우연이 아니다. 왜냐하면 한덕수 관상(觀相)에 대권의 기운이 서려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오래전부터 이재명 대표로 후보가 정해진 상태다. 야권에서는 그 누구도 이재명의 위세를 넘기 힘들다. 그만큼 민주당은 이재명 체제로 단단히 뭉쳐 있다. 그렇기에 민주당 후보에 대한 분석은 차후다. 반면 국민의힘을 포함한 보수진영에서는 그동안 강한 대권 후보가 없었다. 고만고만한 후보들끼리 난립된 상황의 연속이었다. 그 와중에 김문수 장관이 여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다.

필자가 전부터 눈여겨 본 대권 후보가 있다. 그중 한 명은 자신의 생각 하나만 바꾸면 강력한 대권 후보로 떠오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당사자는 전혀 감을 못 찾고 헤매고 있는 중이다. 잠재력은 강하나 세상을 보는 눈이 예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인물은 나중에 크게 후회할 것이다.

오래 전부터 눈여겨 본 또 다른 한명이 바로 한덕수였다. 한덕수 전 총리는 양반이고, 진정한 선비다. 한덕수처럼 점잖고 품위 있는 인물은 세상에 드물다. 게다가 명석하고, 지혜도 지니고 있다. 또한 한덕수는 노무현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장관과 총리를 역임했다. 진보와 보수, 양 진영 모두에서 장관을 역임한 드문 인물이다. 우리나라는 점잖은 인물은 대권 후보 되기 어렵다. 그러나 한덕수는 예외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한덕수 대망론'은 국민의힘 내부에 후보가 없어서 생기는 단순한 현상이 아니다. 대체인물 또는 땜질용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정작 한덕수 본인은 대권에 관심을 가져본 적 없는 관상이었다. 꿈에서라도 대권 도전에 대한 욕망을 보였다면 관상에 드러나는 게 일반적이다. 한덕수는 초지일관 자신의 분수를 지켰다. 살면서 오버한 적도 없다. 그만큼 믿을 수 있는 사람이고, 안정감 있는 인물이다.

그런데 최근에 한덕수 전 총리 관상이 급변했다. 상(相)이 바뀌어 변상(變相) 된 것이다. 인간은 태어난 본성이 강하게 작용하는 동물이다. 한덕수 같은 인물이 급변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사람의 관상은 잘 바뀌지 않는다. 대부분의 인간은 죽을 때까지 그 얼굴, 그 관상으로 살다 죽는다. 그렇기에 그 어려운 것을 바꿨다는 것은 길조다. 그럼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삶의 궤적을 그리게 된다. 관상이 바뀌는 변상 과정은 나쁜 쪽보다 좋은 쪽,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한덕수가 대권에 출마한 이유는 사적인 권력욕 때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희망이나 욕심이 아니라,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행위로 여겨진다. 한덕수가 혼란한 이 시대에 부각되고 있다. 한덕수처럼 안정된 인물, 어느 이념에도 치우치지 않는 인물이 대권 후보로 떠오르는 것은 그만큼 정치 안정을 소망하는 국민이 많다는 방증이다.

한덕수는 동물관상으로 '기린 관상'이다.사진출처: 연합뉴스, 언스플래쉬
한덕수는 동물관상으로 '기린 관상'이다. /연합뉴스, 언스플래쉬

한덕수 총리는 동물관상으로 봤을 때 '기린 관상'이다. 3년 전 칼럼에서 '한덕수 총리는 기린상'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기린상'은 큰 권력을 누리거나 귀한 인물이 된다. 기린은 여타 동물들과 싸우거나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초원의 수많은 동물들과 조화를 이루는 본성을 지니고 있다. '기린상' 한덕수도 여야는 물론이고 정치인, 경제인, 예술인 등 두루두루 친화력이 뛰어나다. 한덕수의 대권 도전은 풍수(風水)적인 영향도 크다. 한덕수의 조상 묘는 큰 명당이다. 관상뿐 아니라 풍수로 분석해도 대권 도전은 당연한 현상이다. 허상이 아니다. 한덕수, 김문수 후보의 자세한 풍수 분석은 차후에 거론할 예정이다.

한덕수 자신은 욕심이 없고 깨끗한 인물이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한덕수를 대권 후보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없었다. 하지만 그의 운명이 그를 대권 도전으로 인도하고 있다. 한덕수의 장점은 덕이 많고, 반대로 적은 적다는 거다. 그만큼 무색무취처럼 조용하고 무난하게 공직생활에만 전념했다는 의미다.

김문수가 막상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자 곧바로 자신의 말을 뒤집고 한덕수 후보와 단일화에 선뜻 응하지 않고 있다.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가 단일화 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국민의힘과 보수에게 희망이 생길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둘 다 패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국민의힘 입장에서 분석하면 단일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만약 김문수가 단일화에 비협조적으로 임하다 대선에 패배하면 국민의힘 당원들과 보수 입장에서는 김문수를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할 가능성이 높다. 김문수 주변에 포진한 측근과 참모들도 동일한 운명이다.

김문수 후보는 지금까지의 삶처럼 사욕보다 대의를 중시해야 큰 정치인으로 부활할 것이다. 단일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소한 잡음에 견문발검하면 소인배로 전락한다. 큰 그림을 그릴 줄 알아야 거물 정치인이 된다. 당장 속이 쓰려도 참고 지나가면 곧 찬란한 서광을 받는 법이다.

대선 기간은 겨우 한 달이다. 선거 후, 집권당 대선 후보라는 직함은 연기처럼 사라진다. 벚꽃처럼 개화기간이 짧은 대선 후보라는 명예에 취해 멀리 보지 못하면 스스로 큰 화를 부르게 된다. 김문수 스스로 한덕수와 단일화를 호언장담한 것처럼 통 크게 단일화에 나서면 누가 후보가 되든, 성패를 떠나 김문수는 밝은 미래가 펼쳐질 것으로 본다.

여성경제신문 백재권 글로벌사이버대 특임교수 hyunoo9372@seoulmedia.co.kr

※ 외부 필진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백재권 글로벌사이버대 특임교수

어렸을 때부터 자연의 섭리와 세상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 명상과 기(氣) 수련에 매진했다.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학 석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 박사를 취득했고, 교육학 박사를 수료했다. 중앙일보에 2년간 <백재권의 관상·풍수>를 연재했고, 네이버 오디오클립에 <백재권의 관상과 지혜>를 92회 연재했다. 2018년 최초의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 신문사 ‘워싱턴포스트(The Washington Post)’의 요청으로 김정은의 관상에 대해 인터뷰했다. KBS, SBS, 채널A, MBN, 동아일보, 한국일보, 연합뉴스 등 다수 언론과 신문에 관상·풍수 전문가로서 출연 및 기고했다. 저서로는 <동물관상으로 사람의 운명을 본다>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