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관리, 기자재, 인프라 포함시
장기적으로 50조원 경제 유발 효과
테멜린 2기 추가 협상권 얻으려면
차기 정부 원전 정책 일관성 있어야

체코 두코바니 원전 /연합뉴스
체코 두코바니 원전 /연합뉴스

한국수력원자력을 주축으로 한 ‘팀코리아’가 24조 규모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의 최종 계약을 오는 7일 체결한다는 낭보가 날아들었다. 

대내외적 혼란이 가중되는 시기 이번 체코 원전 수주가 장기적으로 유무형의 이익을 창출해내는 점을 감안할 때 어느 정부가 들어서든 원전을 활용한 국익 창출 기회를 배제할 수 없는 명분을 만들어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이번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는 한국의 원전 건설단가 대비 2배 이상 높은 가격으로 확정되면서 사실상 성공 사례로 통용된다. 

2023년 11월 발주된 신한울 3·4호기의 사업비는 11조7000억원이다. 이에 비해 체코 두코바니 원전은 1기당 약 12조원, 총 2기에 24조원 규모다. 여기에 원전 운영·관리, 기자재 수출, 인프라 투자까지 포함하면 경제 유발 효과는 최소 50조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당초 체코 원전 4기의 수주 금액이 30조원 가량으로 예상됐던 점을 감안하면 실제 수주 금액은 서프라이즈라는 평가가 업계에서 나온다. 

호재는 이뿐만 아니다. 두코바니 2기 본계약이 발효되면 테멜린 지역의 추가 2기에 대한 우선협상권도 자동으로 한수원 몫이 되기 때문이다. 체코 정부가 향후 2년 안에 원전 2기를 추가로 짓기로 결정할 경우 한국이 또 다시 수주할 가능성이 제일 크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테멜린 2기까지 추가로 건설할 수 있을 경우 체코 프로젝트의 총 규모는 두코바니의 기존 26조원에서 약 50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체코 원전 수주와 관련해 끊임없이 따라오던 저가 수주 논란을 잠재우는 대목이다. 그간 야당과 원전 반대론자들은 유럽이나 미국의 원전건설 가격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알려지면서 유럽 원전 시장 진출을 위한 무리한 수주 아니었냐며 논란을 제기해왔다. 

원전업계에서는 저가 수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이 대다수다. 유럽과 미국의 건설단가가 높은 이유는 안전규제 강화 등으로 인한 각종 비용 증가의 영향 때문이다. 실제로 유럽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건설시 이중 격납설계를 요구하는 등 안전규제를 강화하며 공사기간, 비용이 증가했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여성경제신문에 “프랑스는 인허가 과정을 단순화하고 건설 비용을 줄이기 위해 58기의 원자료 표준화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제 비용은 급격히 증가했다”며 “미국도 쓰리마일섬 사태 이후 원전 벨류체인이 붕괴되면서 원전 건설 리드 타임과 비용이 모두 급격히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유무형의 이익을 창출해낼 것으로 전망되는 체코 원전 수주는 차기 정부의 에너지 정책 판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036년 준공을 목표로 하는 체코 원전은 2032년 들어설 신한울 3·4호기와 2038년 들어설 국내 신규 대형원전 2기 사이의 ‘인터벌’을 메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국내 원전업계 활성화 측면에서 차기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원전 확대 기조의 연속성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21대 대선 후보들의 공약과 발언을 살펴보면 ‘탈원전’과는 거리를 두는 모습이 역력하다. 국민의힘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는 원전 중심 에너지 정책을 예고했으며 출마가 예정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도 그간의 행보를 감안하면 원전을 탄소중립 수단으로 적극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눈여겨 볼점은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달라진 행보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에너지 정책이던 탈원전 정책과 거리를 두고 원전 비중을 유지하자는 쪽으로 돌아섰다. 대형원전은 사회적 합의로 조금씩 줄여가되 AI 시대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해 소형모듈원전(SMR) 등은 에너지 믹스에 반영하자는 주장이다. 

어느 후보가 대권을 잡아도 탈원전을 벗어나는, 이른바 ‘탈(脫)탈원전’ 기조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 에너지 업계 전문가는 최근 탈탈원전으로 돌아서는 정책 기조에 대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가 산업 경쟁력을 넘어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정책 설정에 고려된 것”이라며 “체코 원전 수주가 향후 원전 정책 기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성경제신문 유준상 기자  lostem_bass@seoulmedia.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