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증시 인프라 개선 위한 토론회 개최
이 원장 "기업에 적극적인 역할과 책임 당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 관련 열린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 관련 열린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량기업이 정당한 가치를 평가받고 경쟁력이 낮은 기업은 자연스럽게 퇴출될 수 있는 시장 시스템이 구축돼야 합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0일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열린 토론'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회의는 금융감독원·금융투자협회·넥스트레이드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 원장은 "공매도 전산화는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글로벌 민관협력 체계로 우리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면서 "대체거래소 출범으로 투자자의 선택이 큰 폭으로 확대되고 거래 편의성 또한 획기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자본시장의 개혁이 늦어질수록 투자자의 신뢰는 흔들릴 것"이라며 "(자본시장 선진화) 제도들이 우리 자본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면 글로벌 투자자들에 대한 우리 시장의 매력도가 제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는 시행 전까지 부족한 부분이 없는지 꼼꼼히 챙겨야 한다고 했다. 이런 관점에서 금융 당국은 증시 인프라 혁신과 대체거래소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감독 역량을 집중해 공정하고 투명한 금융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증시의 근본적 체질 개선을 위한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면서 "특히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법 개정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을 통해 실효성과 균형을 고려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이 원장은 "기업은 자본시장 혁신의 주체이자 가장 큰 수혜자이므로 자본시장과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과 책임을 다하길 당부한다"며 "금감원도 시장 참여자가 한뜻으로 자본시장 발전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에서는 KB증권이 공매도 잔고 관리 시스템 운영 프로세스를, 넥스트레이드가 대체거래소(ATS) 출범에 따른 투자 환경 변화를, 키움증권이 복수 시장에서의 주문 배분 시스템 운영 방향을 각각 발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