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 후폭풍 대통령실까지 번져
전문가, "한 총리 사의 표명 필요 없어"

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 참패의 여파로 여당 및 대통령실 인사들이 사퇴했다. 총선 참패의 후폭풍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는 한편 한덕수 총리까지 사의를 표명할 필요는 없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올해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관섭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비롯한 대통령실 인사들도 국정 쇄신을 위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선거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난다"고 말했다. 그는 "민심은 언제나 옳다. 국민의 선택을 받기에 부족했던 우리 당을 대표해 국민들께 사과드린다"며 "국민의 뜻을 준엄하게 받아들이고 저부터 깊이 반성한다"고 했다. 

이어 "야당을 포함해 모든 당선자에게 축하의 말씀을 드린다. 국민의 뜻에 맞는 정치를 부탁드린다"며 "함께 치열하게 싸워주시고 응원해 주신 동료 시민 여러분. 사랑하는 당원 동료들, 당선되지 못한 우리 후보들께 위로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가 국민들께 드린 정치 개혁의 약속이 중단 없이 실천되길 바란다"며 "어떻게 해야 국민의 사랑을 되찾을 수 있는지 고민하겠다. 쉽지 않은 길이겠지만 국민만 바라보면 그 길이 보일 거라 생각한다. 100여 일간 저는 모든 순간이 고마웠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관섭 비서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등 대통령실 참모들도 사의를 표명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 뜻을 받들자면 국정을 쇄신하는 게 당연하고 국정을 쇄신한다는 것은 인적 쇄신이 선행돼야 한다”며 “비서실의 저를 포함한 정책실장과 모든 수석이 윤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시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사퇴는 문제가 없지만 한 총리 및 대통령실의 사의 표명은 필요 없었다고 분석했다. 신율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해당 사태를 두고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면서도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할 필요는 없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