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생명·새마을금고 전철 밟는 태영건설
레고랜드 사태 ‘50조원+α’ 이후 85조 확대
결국 금융기관 자금 “총자산 0.09% 수준”
금융권 건전성 이상무? “시작에 불과” 경고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바로 다음 날인 2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포함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연합회관에서 태영건설 사태 이후 금융·외환시장 상황과 영향을 점검했다. 당국은 ‘현재 85조원 수준의 시장 안정 조치를 운영 중’이라며 금융시장 안정을 목표로 필요한 경우 안정 조치를 ‘충분한 수준으로 즉시 확대하겠다’고 했다. /연합뉴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바로 다음 날인 2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포함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연합회관에서 태영건설 사태 이후 금융·외환시장 상황과 영향을 점검했다. 당국은 ‘현재 85조원 수준의 시장 안정 조치를 운영 중’이라며 금융시장 안정을 목표로 필요한 경우 안정 조치를 ‘충분한 수준으로 즉시 확대하겠다’고 했다. /연합뉴스

‘태영건설 외 문제없다’던 ‘F4(Finance 4)’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바로 다음 날인 2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포함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연합회관에서 태영건설 사태 이후 금융·외환시장 상황과 영향을 점검했다. 당국은 ‘현재 85조원 수준의 시장 안정 조치를 운영 중’이라며 금융시장 안정을 목표로 필요한 경우 안정 조치를 ‘충분한 수준으로 즉시 확대하겠다’고 했다.

결국 금융기관 자금으로 급한 불을 끄는 것인데 당국은 금융권의 총자산 대비 1%도 안 되는 수준이라 건전성에 큰 영향을 끼치진 않는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는 ‘외환위기가 오기 전날까지도 당국은 늘 그런 식이었다’며 기민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날 최 부총리는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모두 발언에서 “시장 안정 조치는 작년 10월 레고랜드 사태에 따라 '50조원+α' 수준으로 가동한 이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건설사 지원 조치가 순차적으로 추가돼 현재 85조원 수준"이라며 "필요시 추가 확대해 시장 변동성의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인한 금융기관 건전성 우려에 대해서도 손실 흡수 능력은 지속해서 확충하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최 부총리는 "태영건설 관련 익스포저가 금융권 총자산의 0.09% 수준이며 다수 금융회사에 분산돼 있어 건전성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금융권 스스로 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태영건설 분양계약자의 차질 없는 입주도 약속했다. 그는 "분양계약자가 있는 22개 사업장은 차질 없는 분양 이행을 통해 원활한 입주를 지원하는 한편, 필요시에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을 통해 분양 대금을 환급하는 등 수분양자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영건설 매출 의존도가 높은 일부 하도급사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의 채무를 1년 상환 유예하거나 금리 감면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필요한 경우 한국은행은 공개시장 운영을 통해 유동성 지원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정부와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긴밀한 정책 공조를 바탕으로 잠재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 과감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면서 "과도하고 불필요한 시장 불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장 참여자 여러분의 협조를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태영건설도 새마을금고와 지난해 흥국생명 전철을 밟게 됐다. 지난 7월 터진 새마을금고 유동성 위기에 금융당국은 은행권을 소집해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통한 유동성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새마을금고에 총 6조2000억 원가량이 공급됐다. 작년 11월 흥국생명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사태 때와도 동일한 경로다. 대통령실은 이번에도 금융기관이 태영건설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은행이 돈이 많다’는 게 이유다.

대통령실은 이번에도 금융기관이 태영건설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은행이 돈이 많다’는 게 이유다. 문제는 모든 기관의 자금 유동성이 풍부하진 않다는 것이다. /최주연 기자
대통령실은 이번에도 금융기관이 태영건설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은행이 돈이 많다’는 게 이유다. 문제는 모든 기관의 자금 유동성이 풍부하진 않다는 것이다. /최주연 기자

당국이 공개한 시장 안정 조치 확대 방안을 보면 한국주택금융공사 및 주택도시보증공사(30조원)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21조5000억원) 83개 기관의 채권시장안정펀드(20조원) 건설공제조합(6조) 증권사(4조8000억원) 캠코 등 금융업권(2조2000억원) 등의 기관이 총 84조5000억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집계돼 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이보다 더 확대할 수 있다고 했다.

문제는 모든 기관의 자금 유동성이 풍부하진 않다는 것이다. 당국이 안정 조치 명단에 올려놓았지만 실제 지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본지에 “많게는 수십조원 적게는 수조원대 부담하는 것으로 나와 있는데 실제 이 기관들이 부담 가능하냐가 중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태영건설 관련 익스포저가 0.09%에 불과하다곤 하지만 금융당국은 늘 그래왔다. 1997년 당시만큼 심각한 금융위기가 온다는 건 아니지만 2금융권과 지방 증권사 문 닫을 수 있다. 지금은 시작에 불과하다”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