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심사 마무리 단계
NH투자증권은 심사 초기
발행어음 인가도 속도전

금융당국이 이르면 이달 안에 첫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를 지정할 전망인 가운데,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1호 IMA 사업자 지정 유력 후보로 꼽힌다. 제도 도입 8년 만에 첫 사업자 지정을 앞두고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4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금융감독원은 두 증권사가 지난 7월 제출한 IMA 사업자 신청 건에 대한 마무리 절차를 밟고 있다. 현재 사실조회, 법률 검토, 현장 실지조사 등이 모두 끝난 상황으로, 외부평가위원회 심사 없이 금감원 심사보고서가 증권선물위원회 심의를 거친 뒤 금융위원회 의결을 통해 최종 지정될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조만간 두 회사 중 한 곳, 혹은 공동으로 1호 IMA 사업자가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NH투자증권의 경우, 지난 9월 말 뒤늦게 신청서를 제출해 심사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일부 고위 임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이 불거지며 내부통제 리스크가 확대된 점도 심사에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IMA는 증권사가 고객의 예탁금을 운용해 기업금융 관련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추구하는 제도다.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부담하는 대신 일정 수익을 보장하는 상품이다.
고객은 손실 위험 없이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증권사는 기업 대출 등 다양한 기업금융 사업에 투자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IMA 제도 외에도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증권사를 대상으로 하는 종투사 지정과 발행어음 인가 절차를 병행하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과 하나증권이 외부평가위원회 심사와 현장 실지조사를 마쳤고, 신한투자증권도 외평위 심사를 완료했다. 반면 삼성증권은 거점 점포 관련 검사가 진행 중이고, 메리츠증권은 이화전기 신주인수권부사채(BW) 불공정 거래 의혹으로 검찰 수사를 받아 인가 지연 가능성이 제기된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IMA 및 발행어음 종투사 지정 시 조달 자금의 25%를 모험자본으로 투자하도록 의무화했다. 혁신기업 지원과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조치다.
다만 IMA와 발행어음 제도 확산이 모험자본 활성화로 이어지기는 어렵다는 관측도 있다. 실제로 2016년 발행어음 제도가 도입된 이후 지난해 9월 말 기준 종투사의 모험자본 공급 비율은 총자산 대비 2.23%에 그쳤다. 아울러 개인 투자자 자금을 직접 운용하는 구조인 만큼, 금융당국은 내부통제 강화와 소비자 보호를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성경제신문 서은정 기자 sej@seoulmedia.co.kr
관련기사
- NH證, 전 임원 '국내 주식 매매' 금지···"전화위복 기회로"
- "오늘부터 낮에도 美주식"···'주간거래' 1년 만에 재개
- 임기 만료 '코앞' 증권사 CEO들···연임 전망은?
- 금감원, 신한투자증권에 '기관경고' 통보···오는 29일 외평위 앞둬
- 미래에셋·한투·NH투자, IMA 신청···선정시 사실상 2028까지 독점
- 금감원, 메리츠증권 수시검사 착수···"결과 기다리는 중"
- 증권사 5곳, 발행어음 인가 '숨통'···11월 최종 판가름
- 메리츠證, AI 전환 선언하며 손 내민 곳은 중국계 플랫폼 '위불'
- 미래·한투證, 1호 IMA 사업자 공동 지정···증선위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