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연 매출 2조 넘어서
영업이익 전년 대비 38% 감소

하이브가 2024년 매출도 2조원을 넘기는 데 성공하며 최대 매출을 재차 경신했다. 그러나 아티스트별 매출 비중 변화, 초기 인프라 투자에 수반되는 비용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하락한 상태다. 하이브는 2025년에는 영업 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25일 하이브에 따르면 하이브의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4% 늘어난 2조2545억원을 기록했다. 직접 참여형 매출은 전년 대비 1.8% 하락한 1조4453억원이며 같은 기간 간접 참여형 매출은 14.5% 상승한 8093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접 참여형 매출은 비중이 큰 음반 부문이 전년 대비 11.3% 하락했지만 공연 부문이 25.6%라는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매출 감소분을 상쇄했다.
하이브 국내 아티스트들의 연간 써클차트 점유율은 전년 38%에서 2%포인트 상승한 40%로 집계됐다. 세븐틴은 2023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1000만 장 이상의 누적 앨범 판매량을 기록하며 2년 연속 텐 밀리언셀러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연간 써클차트 톱 10 안에 2개 앨범이 진입했고 작년 발매한 앨범 3장이 모두 일본 오리콘 연말 결산 차트에 올랐다.
음원 부문에서도 좋은 기록들이 나왔다. 국내외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량을 망라하는 써클차트 '글로벌 K-팝 차트' 톱 20 내 하이브 아티스트들의 곡이 15곡 오르며 막강한 콘텐츠 경쟁력을 입증했다. 방탄소년단 멤버 진, 지민, 뷔, 정국의 솔로곡과 RM이 피처링에 참여한 메건 더 스탤리언의 '네바 플레이'가 각각 빌보드 '핫 100'에 이름을 올렸다.
르세라핌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EASY'와 'CRAZY'로 빌보드 '핫 100'에 차트인 했다. 지난해 데뷔한 TWS(투어스)는 데뷔곡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로 멜론 연간 차트 1위에 등극했고 아일릿은 'Magnetic'으로 K-팝 데뷔곡 사상 최초로 미국 빌보드 '핫 100'과 영국 '오피셜 싱글 톱 100'에 입성했다.
공연 매출도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빌보드가 발표한 '2024년 K-팝 공연 매출 차트'에 따르면 세븐틴, 엔하이픈,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Top 3를 석권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공연 매출은 18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배 이상의 실적을 냈다.
간접 참여형 매출의 경우 공연 부문과 상승효과를 보인 MD 및 라이선싱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29.1% 증가한 420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성과를 냈다. 하이브 뮤직그룹 아티스트들이 대규모 월드 투어를 진행함에 따라 공연 관련 MD와 응원봉 판매가 많이 증가했고 방탄소년단,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등 각 그룹의 멤버들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상품들이 많은 사랑을 받았다.
다만 하이브의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848억원으로 전년 대비 38% 감소했다. 방탄소년단의 병역 의무 이행에 따른 팀 활동 공백과 다수의 신인 그룹 데뷔로 인한 아티스트별 매출 비중 변화가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미국에서의 캣츠아이 데뷔 투자, 하이브 라틴아메리카 설립 후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인력 및 인프라 투자에 수반되는 비용 발생도 이익률 감소의 원인이 됐다. 또한 위버스, 게임 등을 포함하는 신성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선행 투자 비용도 집행됐다.
하이브 측은 올해 방탄소년단의 컴백과 하이브 뮤직그룹 아티스트들의 고른 성장으로 발생할 규모의 경제 효과, 케이드 허드슨 영입을 통한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역량 강화, 하이브 라틴 아메리카 법인의 매출 발생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 아울렛 진출 10년 맞은 현대백화점···"신규 점포 출점으로 제 2도약"
- "IMF 때보다 어려워"···한국경제인협회, 정체성 강화 나선 이유
- 한경협에 부는 변화의 바람···카카오·네이버 11년 만에 가입
- LG엔솔, 미국서 GM 대신 도요타 전기차 배터리 만든다
- 국토부, 대규모 리콜 발표···기아·BMW 등 '5개사 37개' 차종 안전 조치 돌입
- '배그' 상승세에 첫 1조원 돌파한 크래프톤···공격적으로 불리는 몸집
- 4개월간 주가 40% 상승 하이브···BTS 완전체 복귀 기대감 커
- 삼성전기, 창사 이래 매출 10조 돌파···'성장 엔진' 가동
- 하이브 비수기에도 호조···1분기 매출액 5000억 첫 돌파
- "조직적 역바이럴 정황"···하이브 비방한 패스트뷰 관계자 검찰 송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