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슬로베니아, 폴란드까지
체코外 유럽 시장 진출 무산 위기
프랑스만 덕 보는 것 아닐까 '초조'

체코 신규 원전 예정부지 두코바니 전경 /대우건설
체코 신규 원전 예정부지 두코바니 전경 /대우건설

폴란드 정부가 '원전 재검토' 입장을 밝히면서 한국 정부가 100% 본계약을 확신했던 폴란드 원전 수주 프로젝트가 좌초 위기에 빠졌다. 스웨덴, 슬로베니아에 이어 폴란드까지 원전 수주 프로젝트가 사실상 무산되는 분위기다. 

원전 업계에선 최근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가 맺은 협상에서 유럽은 웨스팅하우스가, 나머지 지역은 한수원이 담당하는 조건으로 합의가 이뤄지며 결국 협상력에서 밀리고 있는 것이란 해석이 유력하다. 

19일 여성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폴란드 원전 수주 계약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2022년 협력의향서(LOI) 체결 이후 폴란드 신정부가 수립되며 최근 원전 건설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폴란드 내부 사정으로, 폴란드 정권이 교체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신구 권력의 충돌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현재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신재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원전 프로젝트에 먹구름이 낄 수밖에 없다.  

최근 한수원이 스웨덴, 슬로베니아 원전 수주 입찰을 포기하는 결정을 내린 데 이어 이번에 폴란드 원전 수주 프로젝트까지 사실상 무산되면서 국내 원전 업계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 한편에서는 미국 원전 업체 웨스팅하우스와의 비밀 협약으로 인해 한국 원전 기업이 유럽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는 지난달 16일 지식재산권 분쟁을 극적으로 마무리했으나 상호 간 비밀 유지 약속에 따라 구체적인 협상 내용은 미공개에 부쳐지면서 한국이 ‘무엇을 내주고 무엇을 얻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가열된 바 있다. 

웨스팅하우스가 협상 과정에서 요구해 온 ‘지역 안배’ 조건이 상당 부분 협상에 반영됐을 것이란 분석이 유력했다. 전통 시장인 유럽에서는 웨스팅하우스가 주도권을 갖고 공동 진출하되, 신흥 시장인 중동에서는 한국이 단독 진출하는 식으로 조정이 이뤄졌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처럼 원전 수출이 발목이 잡히는 상황인 가운데, 한국 정부가 나서서 원전 사업의 당위성을 적극 설파해야 하지만 탄핵정국으로 국내 정세 역시 불확실한 탓에 외교력을 집중력 있게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24조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2기에 대한 최종 계약 시점도 기존에 계획했던 3월에서 더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체코 유력 일간지 리도베 노비니는 지난 13일(현지 시간) “한국의 탄핵 정국으로 최종 계약이 연기될 수 있다”며 “한국의 조기 대선 문제 등이 원전 계약 진행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달 10일 업계 요청으로 열린 ‘K-방산 수출 지원을 위한 당정협의회’에 참석한 한 방산업체 대표는 “세계 각국에서 무기 도입 수요가 적지 않은데 K 방산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의 외교전이 없다면 K 방산이 신기루처럼 꺼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