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유력지 ‘본계약 반대’ 칼럼 게재
“불확실한 국내 정세 변수, 방심 금물”

최소 40조원 규모의 폴란드 원전 수주 계약이 무산 위기에 놓인 가운데 체코 원전 사업은 오는 3월 최종 계약 협상이 전망된다. 사진은 체코 신규 원전 예정 부지 두코바니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최소 40조원 규모의 폴란드 원전 수주 계약이 무산 위기에 놓인 가운데 체코 원전 사업은 오는 3월 최종 계약 협상이 전망된다. 사진은 체코 신규 원전 예정 부지 두코바니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을 주축으로 한 팀코리아는 체코 원전 최종 계약을 다음 달 완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체코 현지에서는 한국의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문제 등이 원전 계약 진행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어 계약 지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체코의 유력 일간지 리도베 노비니는 지난 13일(현지 시간) 한국과의 두코바니 원전 사업 최종계약을 반대하는 칼럼을 실었다. 

칼럼 작성자인 루카스 코반다 트리니티 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기업에 맡기면 체코와 유럽 원자력 산업 기술이 장기적 발전을 포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한국의 탄핵 정국으로 최종 계약이 연기될 수 있다” “한국의 조기 대선 문제 등이 원전 계약 진행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탄핵정국으로 국내 정세 역시 불확실한 탓에 외교력을 집중력 있게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을 현지 언론에서 먼저 파고든 것이다. 

게다가 유럽에서 한국의 원전 수주 프로젝트가 잇따라 무산되고 있는 분위기도 체코 정부가 감지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스웨덴, 슬로베니아에 이어 한국 정부가 100% 본계약을 확신했던 폴란드 원전 수주도 좌초 위기에 빠졌다. 

한 원전 전문가는 “원전 수출이 발목 잡히는 상황인 가운데 한국 정부가 나서서 원전 사업의 당위성을 적극 설파해야 하지만 탄핵정국으로 국내 정세 역시 불확실한 탓에 외교력을 집중력 있게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체코 정부도 이를 주시하고 있어 방심은 금물”이라고 내다봤다. 

계약 주체는 한수원과 체코의 국영 에너지기업인 ČEZ이긴 하지만 크게 놓고 보면 원전 사업은 정부 대 정부 사업이다. 현지 노동 허가 문제, 원자력 기술을 보낼 때 필요한 원자력안전위원회 허가, 기자재 수출 허가, 절충교역 등 사업자 단에서는 할 수 없는 많은 일을 정부가 움직인다. 이에 사업자는 정부에 종속적인 판단과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 

체코 정부가 한국의 당면한 상황과 현지 여론을 완전히 배제한 정책을 실행하기에는 부담이 없을 수 없고 한국이 원전 계약 당사자인 만큼 최종 계약 전 다각도에서 재검토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만 팀코리아는 체코 원전 최종 수주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체코 원전의 경우 정식 계약과 같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완료돼 문제가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다음 달 본계약 체결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설령 본계약이 지연된다고 해도 최종 계약에는 문제없을 것”이라고 했다.

팀코리아의 시공 주간사로 참여한 대우건설도 체코 원전 사업의 최종 수주에 확신을 보였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최근 루카쉬 블첵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 등이 한국을 방문해 협상이 계획 일정대로 가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며 "현재까지 변동 사항이 없지만 일정에 변동이 발생해도 팀코리아가 제시한 조건이 좋기 때문에 대안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