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지대 문제 계속···개선 필요해
민간 발주자 대금 지급 보증 의무화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17일 '정보통신공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에 앞으로 정보통신공사에서도 민간 발주자의 대금 지급 보증이 의무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해민 의원실에 따르면 이날 이 의원은 '정보통신공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 '국가계약법', '지방계약법'에 따르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공공공사의 경우에는 수급인에 대한 대가 지급보증을 의무화하는 규정이 있으나 민간 공사의 경우에는 법적 보호 장치가 미비해 공사대금 미지급으로 인한 중소업체들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이에 민간 공사 중에서도 건설공사는 2019년도에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으로 소방시설공사는 2021년도 소방시설공사업법 개정으로 관련 규정이 마련됐지만 정보통신공사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있어 불필요한 민사소송 분쟁이 잦은 실정이었다.
이에 이 의원은 정보통신공사에서도 민간 발주자가 수급인으로부터 계약이행 보증을 받을 때 발주자는 공사대금 지급을 보증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보험료나 공제료를 지급하도록 의무화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 의원은 해당 법을 발의하며 "이 법안은 중소업체들을 보호하기 위한 입법 목적이 크지만 수급인이 계약이행을 먼저 보증하는 경우에만 발주자도 대가지급 책임을 다하라는 취지이므로 발주자와 수급인 모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법 개정을 통해 정보통신공사에서 임의로 공사를 중단하거나 공사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부당한 피해 사례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출생아 수 반등 타이밍인데···입법·예산 뒷받침 역부족
- 변호사 시험 선택과목 폐지한다···'빅3 쏠림' 방지 수험생 학습권 보장
- 민주, 尹 40% 여론조사 고발하지만···'친야 성향' 조사도 문항 편향
- 빚진 자에 채권추심 당연한데···이재명표 '압류금지 통장법' 논란
- 항공 참사 유족 만난 野 이해민, 진상규명·재발방지법 발의
- 한정애 의원 '공증인법' 개정안 대표 발의···"공증 제도 허점 개선해야"
-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게임사 이용자 손해 3배 배상
- 기초연구 35년간 낡은 정의···최수진 의원, 전면 개정 R&D 법안 발의
- 尹 구속에 거부 반응 보인 대통령실···"사법부 공정성 우려" 제기
- 정춘생 의원 "尹 탄핵주역은 2030 여성"···'다시 만난 세계' 개최
- 이해민 'PBS 폐지 이후' 두 번째 토론회 개최···현장 연구자 목소리 들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