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현희의 마음을 여는 말하기 비법]
하기 싫은, 귀찮은, 거북한, 불편한 느낌의 일들
내 바람을 위해 내가 선택한다고 생각 바꿔보기
'나는 o o을 원하기 때문에 * *을 선택할 거야!'

“정말 하기 싫어···”라고 하면서 하는 일이 있습니다.

“귀찮지만 하는 거지 뭐!”라고 하면서 하기도 합니다.

“불안한 마음으로 해치우는 거야!”라고 후다닥 해버리기도 합니다.

하기 싫은, 귀찮은, 불안한, 불편한, 거북한, 어려운 등의 느낌이 올라오는 일들을 안 할 수 있으면 안 하면 됩니다. 그런데 한다면, 해야 한다면 하면서 다르게 생각해 보는 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내가 하는 모든 일에는 그것을 선택한 목적이 있습니다. 원해서 하는 일은 목적을 스스로 찾고, 정당성을 갖추고, 합리화하며 긍정의 마음으로 할 확률이 높습니다. 원하지 않는데 해야 하는 일은 부정의 느낌이 강하여 목적을 찾는 것이 어렵고 스스로 회피하기도 합니다.

하기 싫은, 귀찮은, 불안한, 불편한, 거북한, 어려운 등의 느낌이 올라오는 일들을 해야 한다면, 하면서 다르게 생각해 보는 방법을 익혀보자. '선택 공식'을 활용하는 방법도 그중 하나다. /게티이미지뱅크
하기 싫은, 귀찮은, 불안한, 불편한, 거북한, 어려운 등의 느낌이 올라오는 일들을 해야 한다면, 하면서 다르게 생각해 보는 방법을 익혀보자. '선택 공식'을 활용하는 방법도 그중 하나다. /게티이미지뱅크

‘소파에서 과자를 먹으면 가루가 떨어질 텐데, 과자 봉지를 여기서 바로 뜯어서 먹으면 안 되는데···’라고 생각합니다. 생각하는 중에 이미 과자 봉지는 뜯어졌고 과자를 하나 입에 뭅니다. 이어 환청처럼 가족의 투덜거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소파에 과자 가루가 있잖아!”라는 날카로운 소리를 상상하며 과자를 계속 먹습니다.

이때 ‘일어나기 귀찮아!‘라고 생각하겠지요? 일어나 과자 그릇을 챙겨오지 않습니다. 지금의 편안함을 선택한 것입니다. 귀찮아 라는 느낌 단어가 올라오면 이어 '나는 o o을 원하기 때문에 * *을 선택할 거야' 선택 공식을 떠올려보세요.

나는 평화를 원하기 때문에 과자 그릇을 가져와서 과자를 먹기로 선택할 거야!

선택 공식에 맞춰 문장을 만들어보면 어떤 마음이 될까요? 귀찮은 마음이 줄어들어요, 마음이 조금 강해져요, 책임감이 생겨요, 긍정적인 느낌이 생겨요, 생각이 깊어져요 등의 답을 들었습니다.

다음 주가 시험인데 휴대폰을 들고 있는 학생의 마음은 온통 재밌기만 할까요? 아마도 휴대폰을 놓고 시험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어서 불안할 것입니다. 불안해 라는 느낌 단어가 올라오면 이어 선택 공식 '나는 o o을 원하기 때문에 * *을 선택할 거야'를 떠올려야 합니다. 그리고 문장을 만들어 봐야 합니다.

나는 성적이 오르기를 원하기 때문에 폰을 놓고 공부를 하기로 선택할 거야!

함박눈이 포근히 내리고 있습니다. 내일 아침에 출근길이 걱정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근하지만 사람들이 많아져서 복잡하고 시간이 더 걸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걱정돼 라는 느낌 단어가 올라왔고 이어 선택 공식 '나는 o o을 원하기 때문에 * *을 선택할 거야'를 떠올립니다.

나는 편안한 출근길을 원하기 때문에 내일 20분 일찍 출발하기를 선택할 거야! 그럼 내일은 일어나는 시간을 20분 당겨야겠다.

직장 동료의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아 출근할 때 찜찜하다면, 찜찜해 라는 느낌 단어가 올라올 때 이어 선택 공식 '나는 o o을 원하기 때문에 * *을 선택할 거야!'를 생각하세요.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그 선택을 내가 주도적으로 한다는 것을, 선택은 바람을 성취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선택 공식을 활용해 보라. /chatGPT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그 선택을 내가 주도적으로 한다는 것을, 선택은 바람을 성취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선택 공식을 활용해 보라. /chatGPT

나는 일하며 성장하길 원하기 때문에 동료의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는 이 상황을 외면하기로 선택할 거야.

혹은

나는 업무를 배우고 싶기 때문에 동료의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공감 대화로 소통하는 것을 선택할 거야.

혹은

나는 편안한 직장생활을 하고 싶기 때문에 동료를 만나지 않는 방법으로 이직을 선택할 거야.

등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선택이라도 나의 바람을 성취하기 위한 선택입니다.

삶은 선택의 연속이지요? 그 선택을 내가 주도적으로 한다는 것을, 선택은 바람을 성취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깊이 이해하기 위하여 선택 공식을 활용하세요. 문장을 만드는 것부터 주도적 힘이 생기고 삶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