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현대차 등 재계 사장단 참여
"상법 개정, 주식회사 제도 근간 훼손"
"소수주주 보호,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삼성, SK, 현대자동차 등 국내 주요 그룹사 사장단이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해 상법 개정에 대한 논의를 멈춰줄 것을 요구했다.
21일 한국경제인협회와 국내 주요 16개 그룹 사장단은 서울 중구에서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주요 기업 사장단 긴급 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성명에 참여한 16개 그룹 사장단은 한국의 경제 심리 회복을 위해 국회의 역할을 강조하며 "규제의 입법보다 경제살리기를 위한 법안 마련에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야권에서 추진 중인 상법 개안에 대해서는 "소송 남발과 해외 투기 자본의 공격으로 이사회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어렵게 하고 신성장 동력 발굴을 저해함으로써 기업과 국내 증시의 밸류다운으로 귀결될 것"이라며 관련 법안 논의를 중단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부에 대해서는 과감한 규제개혁을 요구했다. 사장단은 "각국이 첨단산업 지원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만큼 AI, 반도체, 2차 전지, 모빌리티, 바이오, 에너지, 산업용 소재 등에 지원을 아끼지 말 것을 요청했다.
이날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최근 우리 경제는 성장동력이 약화하면서 저성장이 지속되고 있고 경제의 주춧돌이 돼왔던 수출마저 주력업종 경쟁력 약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향후를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면서 "한국경제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성장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기업들이 먼저 나서야 할 필요가 있다"고 긴급 성명 발표 취지를 밝혔다.
김 상근부회장은 질의에서 "소수 주주 보호를 상법 개정으로 하자는 것은 진단에 대한 처방이 잘못된 것"이라며 "16개 그룹 사장단이 모여 성명까지 발표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달라"고 호소했다. 그는 또한 "정말 현행 상법이 문제라서 한국 증시가 트럼프 랠리도 피해 갈 정도로 약세인 것인가, 상법 개정이라는 카드를 통해서만 한국 증시를 살릴 수 있나"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사장단은 성명을 통해 "현재와 같은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국내 경제는 헤어나기 힘든 늪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도 "경제계가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신사업 발굴과 일자리 창출에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날 성명 발표에는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회 위원장 겸 상공회의소 부의장 △김동욱 현대자동차그룹 전략기획실 부사장 △차동석 LG화학 사장 △이동우 롯데지주 부회장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 △류근찬 HD현대 전무 △홍순기 GS 사장 △허민회 CJ 사장 △문홍성 두산 사장 △김규영 효성 부회장 △안병덕 코오롱 부회장 △이민석 영원무역 사장 △박우동 풍산 부회장 △김동찬 삼양라운드스퀘어 대표이사가 참여했다.
관련기사
- 고려아연이 불러들인 '문 앞의 야만인들'···경영진과 주주 충돌 1980년대 미국 연상
- 정부가 입법 포기한 상법 개정안···재계·정계에선 찬반 토론회
- [분석] '명심' 기울어진 '박균택' 상법 개정안도 지배주주 갈라치기
- 대통령실 "野 추진 상법 개정, 기업에 부담···상속세제 바꿔야"
- 이재명, 금투세 폐지 동의와 함께 상법 개정 청구서
- "자사주 불태워 밸류업하라" 기업 실적 무관 K-디스카운트 시대 진풍경
- 해외엔 없는 상법 건들기···與 좌충우돌 속 野 상장사 특별법 변수
- 경찰, 검찰 이어 대통령실까지···민주당, 특활비 82억 '전액 삭감'
- 효성, 대한전선과 손잡고 차세대 전력시장 공략
- 조국혁신당 "상법 개정안도 한 발 물러설까"···'우클릭' 민주당 우려
- 박지원 두산에너빌 회장 '친환경 발전' 공로로 에너지 大賞
- 재계 '결사반대', 당국 '우려'에도···野 상법 개정 토론회 개최
- '벼랑 끝' 석화업계에 3조 수혈···석화업계, 정부 경쟁력 강화 방안 '환영'
- 주주이익 극대화만 우선?···"상법 개정, 이해관계자 균형이 핵심"
- "중국만 이기면 된다"는 트럼프의 '선택적 보호무역주의' 사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