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기 설치해
모든 차량 충전율 확인‧제한 어려워

화재로 전기차 충전기가 녹아 내렸다. 인천 전기차 화재 사건 이후 국회는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기 26대를 설치했다. /연합뉴스
화재로 전기차 충전기가 녹아 내렸다. 인천 전기차 화재 사건 이후 국회는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기 26대를 설치했다. /연합뉴스

연이은 전기차 화재 사고에 국회가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기를 구비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국회의사당에서 화재 발생 시 국가안보와 연동된 주요 기능이 마비될 수 있어서다. 다만 국회의사당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국회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를 두고 국회에서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회 관계자는 여성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인천 전기차 화재 사건 이후 초기대응을 위하여 화재진압포 세트 추가구매, 고정형 침수조 및 이동형 침수조의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다만 "일정, 개수 등 세부 계획은 미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회는 청사 내 전기차 충전소 화재 대응을 위하여 화재 진압포 세트 및 배터리 화재 적응성 소화용품을 구매하여 전기차 충전기 인근에 배치하고 있다. /김민 기자
현재 국회는 청사 내 전기차 충전소 화재 대응을 위하여 화재 진압포 세트 및 배터리 화재 적응성 소화용품을 구매하여 전기차 충전기 인근에 배치하고 있다. /김민 기자

현재 국회는 청사 내 전기차 충전소 화재 대응을 위하여 화재 진압포 세트 및 배터리 화재 적응성 소화용품을 구매하여 전기차 충전기 인근에 배치하고 있다. 화재 진압포 세트는 의원회관 지하 1층 전기차 충전소에 배치했으며 1세트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화재 적응성 소화  용품은 국회 청사 내 전기차 충전기 수 43개소를 고려해 총 26개를 구매해 배치한 상태다.

한편 국회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지난 7월 11일 영등포소방서와 합동 훈련을 진행하기도 했다. 해당 훈련은 국회 내 전기차 충전기 인근 시설 현황을 확인하고 소방대 진입로 등을 점검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화재에 대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국회의사당은 현행법상 점령 또는 파괴되거나 기능이 마비될 경우 국가안보와 국민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가급' 국가 보안시설이다. 최근 전기차 화재로 국제공항이 마비되는 대형 사고도 발생하고 있는데 현재 대안으로 마련한 소화기와 진압포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다른 기관의 대처와도 비교되고 있다. 지난 19일 경기도는 청사 내 지하 주차장에 전기차 진입을 금지했다. 서울시 또한 90% 이하로 충전을 제한한 전기차만 지하 주차장에 출입할 수 있도록 권고안을 내놓았다. 해양수산부 또한 전기차 배터리 충전율을 50%로 제한하는 권고 기준을 제시했다. 현장에서도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전기차만 선적할 수 있도록 제한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국회에 출입하는 모든 차량의 배터리 충전율을 일일이 살피고 제한하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국회 관계자는 "현재 전기차 출입 조치는 시행하고 있지 않다"며 "다만 전기차 화재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 중으로 이에 따라 화재 대응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