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보호원, 해외도 역할
국내외 정부·공공·민간 협력

불법 케이-콘텐츠 관련 왼쪽부터 메인화면, 사이트 내 도박광고, 접속차단 조치 화면 /한국저작권보호원
불법 케이-콘텐츠 관련 왼쪽부터 메인화면, 사이트 내 도박광고, 접속차단 조치 화면 /한국저작권보호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이하 보호원, 원장 박정렬)이 케이-콘텐츠의 해외 저작권 보호를 위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문체부와 보호원은 약 2년이 넘는 오랜 노력 끝에 국내 저작권자(SBS, KBS, JTBC, SLL 등)와 함께 준비하고 태국 정부 기관 및 해외 민간기구 등과 협력해 태국에서 한국 드라마, 미국 영화 등 영상 콘텐츠 6400여 편을 불법 유통한 태국어 사이트(i***.com) 전체를 최초로 접속차단 시켰다.

22일 보호원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문체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갈수록 국제화·지능화되어 가는 저작권 범죄에 대응하고자 관계부처 합동으로 ‘케이-콘텐츠 불법유통 근절대책’을 발표했다. 이후 태국 불법유통 사이트 접속차단으로 문체부와 보호원이 현지 정부 및 해외 민간기구 등과 연합하여 성과를 낸 모습이다.

그동안 국내 행정력이 미치지 않는 해외에서의 저작권 침해대응은 국내 저작권자가 민간 차원에서 개별대응하고 문체부와 보호원이 이를 지원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번 사례는 문체부와 보호원이 미국영화협회와 공동으로 사이트를 분석하고 국내 권리자들과 협력하여 증거자료를 수집한 결과를 태국 디지털경제사회부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법원의 접속차단 명령을 이끌어낼 수 있었으며, 이는 해외에서의 케이-콘텐츠 저작권 침해대응 방식이 개별대응에서 연합대응으로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태국에서 콘텐츠 불법유통 사이트 자체를 일괄적으로 접속 차단한 것은 이번 사례가 최초다. 개별 게시물(URL) 단위로만 접속차단이 이뤄지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웹사이트 단위 차단의 선례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도 이번 접속차단이 갖는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보호원 박정렬 원장은 “태국은 한류 열풍의 진원지이자 케이-콘텐츠의 영향력이 큰 지역으로, 그간 태국 지식재산청, 경찰청 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내년에는 태국 외의 아시아 국가 전반으로 해외 저작권 침해대응을 확대하여 협력체계를 더욱 견고히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K-콘텐츠 불법유통 화면 /한국저작권보호원
K-콘텐츠 불법유통 화면 /한국저작권보호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은 K-저작권을 지키는데 공로가 큰 개인이나 기업·단체를 공모합니다. 공정한 심사를 거쳐 8명에겐 문체부 장관상, 2명에게 저작권보호원장상을 수상하는 '제1회 저작권보호대상'을 11월에 엽니다. 저작권 보호에 앞장선 개인이나 기업·단체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제1회 저작권보호 대상 공모 안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9월 8일까지 마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