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큐텐그룹 핵심 계열사인 큐익스프레스가 모 그룹에서 벗어나 새 주인을 찾는다. 구영배 대표와 큐텐그룹의 자취를 지우고 새 투자자를 찾아 나스닥 상장 대신 회사 정상화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단 목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큐익스프레스 재무적 투자자(FI)들은 보유한 교환사채(EB)와 전환사채(CB) 등을 대거 보통주로 바꿔 경영권을 큐텐그룹에서 인수하고, 회사 정상화 계획을 본격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큐익스프레스의 FI로는 국내 사모펀드인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크레센도)와 메티스톤에쿼티파트너스, 외국계 펀드인 코스톤아시아 등이 있다.
큐익스프레스는 싱가포르에 있는 글로벌 물류 업체로, 구 대표는 이 회사의 미국 나스닥 상장을 위해 그룹의 역량을 대거 동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큐익스프레스의 지분은 큐텐과 구 대표가 각각 66%, 29%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FI들이 권리를 행사해 주식 전환을 하면 구 대표 측의 지분이 희석돼 소수 주주가 된다. FI들은 이르면 이달 말 주식 전환을 완료하고 사업을 회복시킨 뒤 국내외에서 새 전략적 투자자(SI)를 찾을 계획이다.
큐익스프레스는 새로운 SI가 확정되면 회사 사명을 바꾸는 것도 검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큐익스프레스는 이사회에서 나스닥 상장 추진도 중단키로 결정했다. 상장 추진에 수십억원의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우선 이를 중단하고 사업 정상화에 주력하겠다는 복안이다.
회사 측은 창고 등 국내 물류 인프라를 처분하고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모그룹 미정산 사태의 여파로 일어난 국내의 대금 정산 지연과 관련해서는 물류업체 등 당사자들과 지급 방안을 협의 중이다.
큐익스프레스는 앞서 지난달 26일 구영배 대표를 최고경영자(CEO) 자리에서 물러나게 하고, 새 CEO로 마크 리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임명했다. 회사 측은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큐텐 계열사의 크로스보더 물량이 전체의 10% 수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외부 고객사의 비중이 대부분인 물류 플랫폼(기반 서비스)인 만큼, 큐텐그룹을 떠나서도 독자 경영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큐익스프레스가 독립하면 큐텐그룹의 와해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주요 자회사인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는 이미 그룹의 자구안 마련과 별개로 개별 투자 유치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큐익스프레스의 분리는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자들로부터 반발을 살 가능성이 있다. 구 대표가 큐익스프레스 상장을 위해 '문어발 사업 확장'을 감행하고 판매대금 '돌려막기'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사태의 원인이 된 회사가 그룹을 이탈하는 것은 도의적 책임을 저버리는 것으로 보고 있다.
큐익스프레스가 큐텐그룹에서 나올 경우 구 대표가 자기 재산의 전부인 지분을 활용해서라도 피해액 변제에 나서겠다는 방안도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티메프 사태·쿠팡 가격 인상에"···이커머스 업계 '셀러·소비자' 잡기 나섰다
- 구영배 큐텐 대표 "동원 가능 자금 800억원"···판매대금 행방엔 "프로모션에 썼다"
- “'티메프 사태' 터질 게 터졌다”···‘적자 지속’ 이커머스 업계 불안감 고조
-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 티몬·위메프, 소비자 환불 절차 진행 속도
- "환불·계약해지로 소비자 피해 막겠다"···'티메프 사태' 진화 나선 업체들
- 티몬·위메프 정산 지연에 셀러·소비자 '발동동'···'구영배號 큐텐' 좌초 위기
- 영화티켓, 최민식 말대로 내릴까?···극장가는 '시름시름'
- 불황형 소비에 '거품' 꺼진 '위스키'···실적 악화에 인력 감축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