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매수 당시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보고는 받았지만 내용은 모른다 주장
사정당국 사모펀드와 공모 관계 주목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왼쪽)과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 대표. /연합뉴스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왼쪽)과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 대표. /연합뉴스

검찰이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에 대한 신병 확보에 나섰다. 지난해 사건 발생 당시 카카오 측 재무총괄 임원이 특정 사모펀드에 공개매수 참여를 요청했다는 증언이 나오면서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사건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장대규 부장검사)는 17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김 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지난 9일 김 위원장을 소환해 20시간여에 걸쳐 밤샘 조사를 벌인지 8일 만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SM엔터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설정·고정할 목적으로 시세조종을 벌인 혐의를 받는다. 그는 앞선 소환 조사에서 SM엔터 주식을 매수하겠다는 안건을 보고받은 것은 맞지만 구체적인 매수 과정에 대해서는 보고받지 못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의 'SM 시세조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주가 조작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회 위원장을 9일 소환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는 이날 오전 카카오 창업자인 김 위원장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소환해 조사를 진행했다. /연합뉴스
카카오의 'SM 시세조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주가 조작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회 위원장을 9일 소환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는 이날 오전 카카오 창업자인 김 위원장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소환해 조사를 진행했다. /연합뉴스

검찰은 카카오가 2월 16∼17일과 27∼28일 합계 약 2400억원을 동원해 SM엔터 주식을 장내 매집하면서 총 553회에 걸쳐 고가에 매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금융당국에 주식 대량 보유 보고를 하지 않은 혐의도 있다.

검찰은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와 카카오 법인을 같은 혐의로 먼저 재판에 넘겼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의 최측근인 황태선 카카오 CA 협의체(카카오 그룹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컨센서스를 형성하는 독립 기구) 총괄대표도 소환 조사를 받았다. 사정당국은 지난 5일 시세조종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돼 재판을 받는 지창배 원아시아파트너스 대표의 공판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 5일 이준호 카카오엔터 투자전략부문장은 증인신문에서 카카오의 SM 인수 성공 후 2023년 3월경 원아시아파트너스(GP)에 유한책임사원(LP)으로 투자한 고려아연의 최윤범 회장이 김범수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앞으로 둘이서 사업 협력을 잘해보자며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을 칭찬했다고 진술했다.

또 이날 공판에서 이 부문장은 이어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가 지창배 원아시아파트너스 회장에게 SM 주식 1000억원을 사서 하이브 공개매수를 깨 달라고 말했냐?"라는 변호인 측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