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알트먼과 사티아 나델라 만나
SK텔레콤 '에이닷' 노하우 나눠
향후 네트워크 미팅 지속하기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엔비디아·TSMC와의 고성능 반도체 얼라이언스 구축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 AI를 방문하며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T) 분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27일 SK그룹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오픈AI 본사에서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퍼스널 AI'에 대한 의견 교류 및 양사 간 서비스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퍼스널(Personal) AI란 사용자의 선호, 경험, 요구 사항 등을 기억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와 의미 있는 대화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는 맞춤형 인공지능을 뜻한다.
이어 미국 레드먼드 마이크로소프트(MS) 본사를 찾아 사티아 나델라 CEO와 만나 SK와 MS가 반도체, 데이터센터, 언어모델 등 AI 관련한 협력을 강화하는데 뜻을 모았다. 양 사 경영진은 미래 AI 산업의 여러 영역에서 협업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기적 미팅을 지속적으로 갖기로 했다.
최 회장이 이번에 만난 빅 테크 CEO들은 AI를 활용한 서비스 영역에서 세계 시장을 이끌고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CEO, 김주선 SK하이닉스 사장(AI 인프라담당) 외에 SK그룹의 AI, 반도체 분야 경영진이 최 회장과 동행했다.
지난 4월 엔비디아, 이달 초 TSMC CEO와의 회동으로 ‘AI 하드웨어(HW) 파트너십’을 강화한 데 이어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 연대를 강화하기 위한 방문으로 해석된다. SK 경영진은 '장기기억' 기술을 장착한 SK텔레콤의 AI 서비스 '에이닷'이 가입자 400만명으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소개하고 노하우를 나눴다.
SK 관계자는 "최태원 회장의 미국 빅 테크 경영진 회동은 AI, 반도체를 매개로 한 SK와 빅 테크 간의 협력의지를 확인하는 것뿐 아니라, SK가 이들 분야에서 미래 성장동력의 단초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최 회장의 글로벌 리더십과 SK의 AI, 반도체 경쟁력을 바탕으로 파트너 기업들과의 협력이 더욱 공고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 공정에 AI 첫 도입··· 연구비용 시간 절감 효과
- [인터뷰] 빅데이터학자 차상균 교수가 명함 두 개 들고 다니는 이유
- 'AI 혁신'이 의료 개혁 돌파구···의학회서 尹 질타한 공대 교수
- 최태원의 AI 얼라이언스···엔비디아·TSMC 협업, 삼성전자 고립
- 국가 격차 만드는 AI인데···기본법 폐기, 머신러닝 꼴찌 수준
- AI 컴퓨팅 필수 부품 실리콘 커패시터···삼성전기 내년부터 양산
- 민주, 부자 감세 공격하며 '친기업' 반도체 지원 엇박자
- 美 대선에 들썩이는 반도체···최태원 SK 회장 "정부 적극 지원 필요"
- AI 시대에 한발 늦는 국회···기업 미래 경쟁력 확보에 걸림돌
- SK 칩으로 AI 생태계를···최태원, 이재명에게 인프라 강조한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