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석·박사급 1000명 모집
연 2회 외국서 '유학박람회' 개최
해외 스타트업 100곳 이상 유치
9월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

20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외국인 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서울'을 만들기 위해 5년간 2506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내용의 '외국인 주민 정책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는 외국 인재와 기업을 유치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5년간 25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공계 석·박사급 인재와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 인력난에 시달리는 돌봄 분야에 외국 인력 확충을 위해 나선다. /서울시
20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외국인 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서울'을 만들기 위해 5년간 2506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내용의 '외국인 주민 정책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는 외국 인재와 기업을 유치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5년간 25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공계 석·박사급 인재와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 인력난에 시달리는 돌봄 분야에 외국 인력 확충을 위해 나선다. /서울시

서울시가 외국 인재와 기업을 유치하고 정착시키기 위해 5년간 2500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는 이공계 석·박사급 인재 1000명을 유치하고 글로벌 기업·테크 유니콘 등 1100대 기업 유치에 나설 전망이다. 인력난이 심각한 돌봄 분야에도 외국 인력 도입을 서둘러 오는 9월에는 100명의 외국인 가사도우미 시범 사업이 실시된다.

20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외국인 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서울'을 만들기 위해 5년간 2506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내용의 '외국인 주민 정책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서울시는 주요 대학과 협력해 이공계 석·박사급 인재 1000명을 유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첨단 분야 대학 10개를 선정해 연 최대 15억씩 3년간 지원한다. 오는 7월부터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시작으로 연 2회의 '서울 유학박람회'를 개최하며 우수 유학생에게 1인당 연 2000만원의 '서울 테크 스칼러십' 장학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시는 글로벌 인재가 일하고 싶은 기업이 서울로 올 수 있도록 글로벌 기업·테크 유니콘 등 100대 기업 유치에도 나선다.

시는 2030년까지 서울 성수동에 영어가 통용되는 창업 지원시설 '유니콘 창업허브'를 조성하고 서울 및 아시아 진출에 관심 있는 해외 스타트업을 100개 사 이상 유치할 방침이다.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를 위해서는 테크·금융·산업 등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큰 100대 타깃 기업을 선정해 각종 인허가를 내줄 예정이다.

유학생이 학업을 마친 뒤에도 한국에 남아 일할 수 있도록 2028년까지 200팀의 이공계 석·박사 창업과 외국인 유학생의 스타트업 취업 및 AI 기업 인턴십을 지원한다.

/ 서울시
/ 서울시

서울시는 간병과 육아 등 돌봄 분야에도 외국 인력을 적극 도입하기로 했다.

오는 9월에는 100명 규모의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필리핀 국적의 24~38세 가사관리사는 정부 인증기관에 고용돼 E-9 고용허가제 비자로 한국에 입국한다. 필리핀 가사관리사는 이용계약을 맺은 개별 가정으로 출퇴근하게 된다.

시는 정부에 외국인 간병인 도입을 적극 건의하겠다고도 밝혔다. 약 8만명 부족으로 추산되는 요양보호사 인력 도입도 추진한다.

국내 인력 공급이 부족한 가사관리사, 간병인, 요양보호사, 의료 코디네이터 등의 분야에 외국인 인력이 투입될 수 있도록 취업학교를 신설하고 수료자에게는 일자리를 연계해 준다.

이날 오 시장의 발표에는 포용적 다문화 사회 조성을 위한 외국인 정착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도 포함됐다.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는 유아가 다니는 어린이집에 보육료 수납액의 50%를 지원하고 다문화 통합형 어린이집을 현재 120개소에서 2028년 190개소로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다문화가정의 아동도 발달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게 지원한다.

다문화 아동·청소년 중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돕기 위해 성장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서울시는 외국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서울시는 외국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이 밖에도 '외국인 주민 전월세 안심 도움 서비스'를 시작하고 외국어 중개가 가능한 '외국인 글로벌 중개사무소'도 올해 239개소에서 414개소로 늘릴 예정이다.

오 시장은 "도시경쟁력은 역동성에서 나오고 역동성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창의적 인재들이 이끌어내는 것"이라며 "이번 마스터플랜을 기반으로 글로벌 인재들이 모여들고 외국인 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미래 서울을 착실하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