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1000명에 연 500만원 기금 신설
'의대 쏠림' 현상 대응책에도 반응 '싸늘'

정부와 국민의힘이 이공계 활성화를 위해 내년부터 이공계 석사과정 대학원생 1000명을 대상으로 연간 500만원을 주는 특화 장학금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로써 이공계 대학원생에 내년부터 주기로 한 연구생활장려금에다 가칭 '석사특화장학금'까지 추가된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론의 반응은 부정적인 상황이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26일 당정이 국회에서 '이공계 활성화를 위한 당정협의회'를 열어 과학기술 인재 육성 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과학 장려금 외에 내년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연구생활장려금을 석사 월 80만원, 박사 월 110만원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주기에 따른 체계적인 효과적인 맞춤 지원, 정책 추진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이공계 지원 특별법 필요에도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당정은 이 외에도 이공계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인 직무 관련 보상금 지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등 우수 연구 기술 성과에 대한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박사 후 연구원 채용 확대 등 공공부문 일자리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또한 여성과학기술인의 경력 단절을 막기 위해 근로 시간 단축 기간을 연장하고 재량근로제도 확대할 예정이다.
당정이 이공계 지원책을 마련한 이유는 '의대 쏠림'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현 정부가 추진하는 의대 증원이 '의대 쏠림' 현상을 심화시켜 우수한 이공계 인재 모집이 어려워진다는 비판이 나오자 해결에 나선 것이다.
지난달 열린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인사청문회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유 장관이 교수로 재직하던) 서울대 재료공학부가 정시 기준으로 모든 의대보다 입결(입시 결과)이 떨어진다"며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면 향후 서울대 이공계에는 1등급 학생이 아무도 안 가게 된다"고 지적했다. 유 장관도 당시 "(의대 정원 증원으로) 우수한 이공계 인재를 모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많은 교수가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당정의 정책을 내놓았으나 여론의 평가는 엇갈린다. 일각에서는 '장학금 지원으로 살아날 수 있었다면 진작에 살아났을 것'이라며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