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항의 목적, 선거 관련 있다고 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일 첫날인 5일 오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3동 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 유권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일 첫날인 5일 오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3동 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 유권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4·10 총선 사전투표가 시작된 가운데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내부 지침을 통해 투표소 내 대파 반입 시 외부에 보관하도록 안내했다. '윤석열 정부에 항의하려는 의미로 대파를 들고 투표장에 가도 되느냐'는 유권자 문의가 들어오자 사전투표소 내 반입을 어렵다고 판단해 직원들에게 대처법을 알린 것이다.

중앙선관위는 5일 현장 투표관리관과 사무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시·군 선관위에 '투표소 항의성 민원 예상 사례별 안내 사항'이라는 문건을 보내 '대파를 소지한 선거인에게는 사전투표소 밖 적당한 장소에 대파를 보관한 뒤 사전투표소에 출입도록 안내하라'고 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한겨레에 "정부에 항의한다는 뜻으로 대파를 들고 온다고 하니 그건 선거와 관련이 있는 거라고 봤다. (다른) 선거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사전투표소 안에서 선거에 미칠 수 있는 표지나 완장을 하지 말라는 공직선거법 조항이 있어 그런 내용의 (안내문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광주 한 사전투표소에서 선거관리위원들이 외부에 위치한 투표 안내원들에게 해당 사안을 안내하기도 했다.

야권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SNS에 이와 관련한 기사를 링크하면서 "기가 차네요"라고 적었다. 이지수 조국혁신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의도가 있는 정치적 행위'인지를 선관위 직원이 어떻게 알아보냐"며 "대파는 들고 못 들어가면 요즘 문제가 되는 사과나 양배추는 들고 들어가면 되느냐"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대파 가격을 갖고 정부와 여당이 국민 눈을 속이려고 해도 좋지만 선관위까지 '파틀막'을 해서야 되겠냐"고 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을 방문해 "대파 한 단에 875원이면 합리적인 가격 같다"고 말해 논란이 불거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여성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